[번역] 구독상품 차별화 전략 수립에 도움되는 '가치제안' 템플릿
가치 제안 수립은 미디어 스타트업이나 기성 언론사들 혹은 새로운 콘텐츠(뉴스)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하는 이들이 반드시 거쳐야 할 선행 과정입니다.
가치 제안 수립은 미디어 스타트업이나 기성 언론사들 혹은 새로운 콘텐츠(뉴스)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하는 이들이 반드시 거쳐야 할 선행 과정입니다.
아래는 GNI 'Data tools for news organizations'의 케이스 스터디 섹션에 게재된 버즈피드의 멤버십 사례를 임의로 번역한 것입니다. GNI 측에 별도의 허락을 구하지 못했음을 알립니다. 뉴스 소비자 인사이트 및 BuzzFeed 뉴스 : 독자들에게 공감하는 멤버십 모델 출시 모든 언론사가 수익원을 다각화하기 위해 페이월(유료 장벽)을 구현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약을 가할
가디언은 뉴욕타임스와 함께 수용자 수익모델의 초기 성공 사례로 거론이 되고 있죠. 뉴욕타임스가 페이월을 쌓아올려 정보 접근권의 제한을 두는 모델에 집중한 반면, 가디언은 모든 독자들은 훌륭한 저널리즘에 차별없이 접근할 자격이 있다며 페이월을 쌓지 않았습니다. 대신 일종의 기부 모델을 중심축에 놓게 됩니다. 이를 가디언은 독자 펀딩 모델(Reader Funding Model)이라고 부르고
60년 전통의 디애틀랜틱이 멤버십 프로그램을 정식으로 시작했습니다. 프로그램명은 마스트헤드입니다. 최근 들어 구독 모델, 멤버십, 비영리 자금 펀딩 등 다양한 수익모델이 시도되고 있는데요. 그 가운데 멤버십은 구독 외의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 대목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