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 AI검색 네이버 'AI브리핑', 검색 1위 유지 가능할까
네이버의 AI 검색 'AI 브리핑'이 3월 27일 베일을 벗었습니다. 2024년 11월 DAN 2024에서 대략적인 개요가 공개된 이후 약 4개월만에 그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발표된 내용과 실제 구현된 UI 사이엔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네이버 쪽이 구상했던 대로 실 서비스가 론칭된 셈입니다. 아직은 적용된 범위가 무척 한정적입니다. 네이버는 보도자료를 통해 4가지 방식으로
네이버의 AI 검색 'AI 브리핑'이 3월 27일 베일을 벗었습니다. 2024년 11월 DAN 2024에서 대략적인 개요가 공개된 이후 약 4개월만에 그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발표된 내용과 실제 구현된 UI 사이엔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네이버 쪽이 구상했던 대로 실 서비스가 론칭된 셈입니다. 아직은 적용된 범위가 무척 한정적입니다. 네이버는 보도자료를 통해 4가지 방식으로
[1] 트럼프 당선 시 한국 경제는 어떻게 변할까지난 주 미국 대선 첫 TV 토론이 열렸습니다. 결과는 아시다시피 바이든의 완패였습니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친민주당 성향 언론까지도 "바이든은 대선 후보에서 내려와야 한다"는 식의 사설을 내보낼 정도였습니다. 지금으로선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요. 아직 대선까지 4개월 정도가 남은 만큼 이른 감이 있지만,
[1] 네이버와 카카오, 생성AI 도입으로 경쟁력 강화애플이 새로 출시하는 아이폰에 생성AI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도 이에 대응해 자사 제품에 생성AI를 접목한 사업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AI 플랫폼 사업에 집중하는 상황에서,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검색과 메신저 분야에서 국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일경제🟢 네이버 네이버는 오는
[1] 유튜브와 할리우드의 경쟁이 계속 유효한 이유유튜브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미디어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닐슨 조사에 따르면, 유튜브는 넷플릭스 등 모든 OTT를 제치고 가장 많이 시청되는 'TV' 스트리밍 앱입니다. 게다가 WSJ에 따르면 유튜브는 공중파와 케이블 채널을 통틀어도 디즈니 다음으로 가장 많이 시청되는 '채널'입니다. TV에서의 시청률만 측정한 자료이기에, 모바일이나 데스크탑
[1] 삼양의 도약 이끈 해외매출, 틱톡 덕분?©chartr삼양라면, 불닭볶음면으로 한국 라면 업계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삼양식품이 예상을 뛰어넘는 이익을 기록하며 5월 17일 기준 주가가 30% 급등하는 등 놀라운 성적을 거뒀다는 사실이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삼양식품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5% 상승했는데요, 영업 이익률 또한 역대 최대인
[1] '라인' 강탈? 네이버의 재팬 리스크일본 정부가 '라인(LINE야후)'에 대한 네이버의 경영권 '사냥'에 나섰습니다. 네이버에게 이는 단순히 메신저 하나를 잃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라인에 대한 지배력 상실은 수억명에 달하는 글로벌 라인 이용자를 토대로 한 온갖 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를 뜻합니다. 일본 정부는 미국의 '틱톡 강제 매각법'과 마찬가지로 네이버의 개인정보
[1] 네이버-카카오, AI 중심으로 조직 개편한다네이버와 카카오가 인공지능(AI)을 핵심으로 조직 개편에 나섭니다. 일부 조직에 대해선 전략적 통합을 발표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에 나섰습니다. • "변화하는 시장 환경 대응, AI가 핵심이다!" 이번 조직 개편은 네이버와 카카오 양 회사가 AI를 사업의 중심축으로 삼고,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됐습니다. 네이버는
[1] 생성 AI, 미국 기업들의 활용 현황은?오픈AI의 GPT-4 출시 이후 1년이 지났습니다. 그간 미국 테크 업계는 주목할 만한 성장을 경험했는데요. 이코노미스트에서 '생성AI가 테크 산업에 미친 영향'과 '생성AI를 직종별로 사용하는 방법' 등을 분석했습니다. 인포그래픽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왼쪽) 미국 내에서 산업별 AI 활용 정도입니다. 정보, 전문서비스, 교육에서 가장 많이 활용될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창업자들이 개발한 뉴스 포털(애그리게이터) '아티팩트'(Artifact)가 문을 닫았습니다. 발표 직전까지 저는 아티팩트에 외부 뉴스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기 위해 애썼습니다. 비록 국내 사용자들이 많지는 않았지만 뉴스를 공유하는 용도로는 사용성이 탁월하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심지어 AI를 통한 뉴스 구조 맞춤화 서비스에 탄복을 하기도 했죠. 그만큼 잘 만들어진 뉴스 포털 중
💡네이버, 다음 등 국내 포털의 뉴스 서비스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20여년전 포털의 뉴스서비스가 시작된 이래 '편집권력' 논쟁을 비롯, '추천서비스의 알고리즘 편향성 논란' 등 잡음이 이어져 왔는데요. 지난 12월 다음이 뉴스 검색 기본 값을 ‘콘텐츠 제휴사’로 개편하겠다고 밝히면서 또다시 논쟁에 불이 붙는 양상입니다. 그만큼 포털뉴스의 중요성이 높아져온 환경
공정위, 플랫폼 독과점에 칼 빼 들었다💡지난 19일 공정거래위원회가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가칭) 제정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법안의 핵심은 공정 경쟁과 소수 거대 플랫폼 기업의 갑질 방지입니다. EU가 도입한 디지털시장법(DMA)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대 플랫폼을 사전에 규제하는 내용이 담길 전망입니다. 세 줄 요약 1. 공정거래위원회가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 제정 추진을 발표했습니다. 2.
Pick오픈AI, 국내 AI 스타트업 집어삼킨다샘 알트만 해임 사건 여파로 Open AI의 리더십과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은 상황인데요. 이는 그만큼 오픈AI가 AI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마어마하게 크기 때문일 겁니다. 최근엔 GPT 터보를 내놓으면서 무차별적인 생태계 확장 전략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거대언어모델(LLM) 알고리듬은 물론 일반 사용자를 겨냥한 하위 서비스까지 영역을
[Pick] 할리우드 파업 종료, AI·OTT로부터 권리 지켰지만...할리우드 파업이 118일 만에 종료됐습니다. 현지시간으로 8일, SGA-AFTRA(할리우드 배우, 방송인 조합)가 공식적인 파업 종료를 선언했습니다. 구체적인 계약안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핵심 내용들은 공개됐는데요. 배우들의 최저 임금을 인상하고, 건강보험과 연금에 대한 제작사 기여금을 확대하는 등의 내용이 계약안에 포함됐다고 합니다. 배우 조합 파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