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가 급증하고 있으면서 이른바 펫푸드 시장 규모 또한 약 1조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반려묘 사료 시장의 급성장이 눈에 띕니다. 반려묘 사료 대 반려견 사료 시장 비율은 약 4대 6입니다. 한국사회에 일인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묘 사료 시장이 동반상승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사료 시장에 못지 않은 크기의 시장은 동물병원 의료 시장입니다. 미국의 경우 2020년 펫푸드 시장 규모가 420억 달러 규모였고, 20년 동물병원 매출이 310억 달러 수준이었습니다. 한국도 펫푸드 시장과 동물병원 의료 시장의 크기는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펫푸드 “3년 내 세계시장 102조 원 규모···국내는 9441억”
핵가족화와 1인 가구 증가로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반려동물 가구 수가 늘면서, 국내 펫푸드(배합사료) 시장규모와 수출입 물량이 꾸준한 증가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 구매가 늘었고, 반려견과 반려묘 모두 건식 사료를 가장 선호했다. 전 세계 펫푸드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88조 규모로, 오는 2023년 까지 102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aTFIS가 내놓은 ‘펫푸드 시장 현장조사’에 따르면 2019년 국내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전체의 26.4%인 591만 가구로 추정됐다. 유형별
[수의학 미래 60년 전망⑥] 반려동물 시장과 수의사:이미진
좋아하여 가까이 두고 귀여워하며 기르는 개, 고양이, 새, 금붕어 따위를 과거에는 사람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에서 ‘애완동물’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코로나 팬데믹이 온라인 상거래 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사료 시장도 예외는 아닙니다. 앞으로 커져가는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주도권을 누가 잡을 수 있을까요? 한국의 경우 쿠팡 등 대형 이커머스 사업자, 반려동물 전문 이커머스 사업자 그리고 인스타그램 등이 주요 온라인 구매처로서 시장을 석권하는 승자는 아직까지 등장하지 않은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