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제안] 다음카카오의 오피셜 댓글 기능, 관심 가지고 계시겠죠? 어떻게 보시나요? 벗님들과 의견을 나눠보고 싶습니다. 짧게라도 코멘트를 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먼저 제 생각부터 전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격의 정의 및 규정

image

오피셜 댓글인지 정식 반론문인지 정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아직까지 구현 결과물이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섣불리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단정적인 주장을 하는 것 또한 섣부르다는 생각입니다. 일단 몇몇 기사에 서술된 내용을 살펴보며 제 생각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피셜 댓글은 기사 바로 아래나 옆에 노출시켜 일반 댓글보다 눈에 띄게 노출되는 방안을 검토 중”(출처 : 한겨레) “해당 기사를 독자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이나 블로그로 퍼 나를 때도 기사와 함께 공식 댓글이 함께 옮겨지게 된다.”(출처 : 국민일보)

개인적으로 ‘오피셜 댓글’은 ‘댓글’이 아니라 ‘반론문’으로 정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이유는 위상 자체의 차별성 때문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작성하는 댓글과 오피셜 댓글은 입력 방식, 배치 방식, 배열 위치 등에서 전혀 다른 원칙과 툴에 따라 작동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 댓글에 제공하지 않는 우월적 기능들이 부여되는 셈이죠. 일부 기사를 보면 본문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짐작되기도 합니다. 본문 내 배치가 사실이라면 이는 댓글과는 다른 성격의 반론문 툴임이 보다 명확해진다고 봅니다. 기사와 댓글 그 경계점에 위치함으로써 콘텐츠의 서열화와 위계, 구분을 시도하는 셈이라고 저는 생각하는 편입니다.

이를테면 뉴욕타임스 등 해외 유력 언론사들은 커뮤니티 매니저, 댓글 모더레이터의 이름으로 댓글을 필터링하고 위치를 조정해왔습니다. 단지 오피셜이라는 이름으로 배열상의 우월적 지위를 부여하는 방식이 아니라 내용의 설득력, 논리성 등에 의거해 댓글 공간 내에서의 위치를 차별화했죠. 혹은 사용자의 추천 행위 등의 파라미터 값을 이용해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순위를 재배열했습니다.

반면 다음카카오의 오피셜 댓글은 이러한 사용자의 판단, 설득력, 논리력 등에 근거하지 않고 단지 이해당사자라는 이름으로 우월적 공간 배치의 지위를 부여받습니다. 따라서 오피셜 댓글을 댓글로 정의할 것이 아니라 ‘오피셜 반론문’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이 저의 판단입니다.

성격 규정와 관련한 중요 쟁점

물론 성격을 정의하는데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의 경우 기사처럼 ‘공감 버튼’이 오피셜 댓글에도 포함되느냐, 혹은 댓글처럼 추천/비추천 버튼이 부착되느냐 따위의 것들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댓글과 동등한 위상을 지니는 시스템이라면 추천/비추천을 비롯해 퍼머링크값을 지원해 외부 플랫폼에서 자유로운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는 기사와 동등한 위상을 갖게 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UI 측면에서 사용자에 의한 평가 대상에서 예외가 돼서는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반론권 보장 등을 통한 공론적 기능 수행이 목적이라면 소프트웨어적 구성에서 특권적 지위를 부여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강조 효과'(하이라이팅)를 위해 동원되는 디자인적 기법들이 기사 혹은 댓글과의 과도한 경계짓기 형태로 노출돼서는 곤란한 것입니다. 이미 배열상(위치)의 우월적 지위를 부여받고 있기에 ‘강조의 과잉’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미칠 효과

일부 시민단체들의 주장에 대해선 공감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아래 주장은 비약이라고 보는 편입니다.

“포털 뉴스서비스에 댓글까지 단다는 것은 심각하게 언론권을 침해하는 것이고요. 언론이 보장받고 있는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을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출처 : KBS)

이미 기업들은 알바의 형태든 혹은 개인 계정의 형태건 댓글을 통해 반론을 행사해왔습니다. 오피셜 댓글은 이들 댓글을 공인해주는 행위라고 보는 편입니다. 언론이 포털 뉴스에 게시된 오피셜 댓글로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이 위축된다는 논리가 어떻게 성립 가능한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취재 당시 반론적 견해를 기사에 담지 않아온 것이 문제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1) 긍정적인 측면

저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봅니다. 독자의 신뢰를 얻기 위한 경쟁입니다. 오피셜 댓글은 그것이 댓글과 거의 동일한 위상을 지닌 채로 서비스된다고 가정할 때, 신뢰의 경쟁을 자극한다고 생각합니다. 보다 치밀한 취재와 꼼꼼한 팩트 체크로 기자는 더 긴장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오피셜 댓글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피셜 댓글도 하나의 저널리즘 행위이고 독자들로부터 신뢰를 획득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봅니다.

독자들은 기사와 오피셜 댓글의 합리성, 논리성,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이고 둘 다 평가 대상이 될 것입니다. 현재 우려하는 많은 대목들은 독자의 역할, 독자의 현명함을 대부분 배제하고 있어 아쉽습니다. 오피셜 댓글이 노출된다고 독자들이 이를 곧이곧대로 신뢰하거나 전적으로 믿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라고 봅니다. 오히려 어설픈 오피셜 댓글은 독자들의 조롱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오피셜 댓글 또한 퍼머링크를 지원해야 하며 공유와 평가 버튼을 반드시 부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부정적인 측면

지금 언론사는 언론사 자체 플랫폼이 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그들만의 유니크한 경험을 포털에 빼앗길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독자와 기자 간의 관계와 유대는 적어도 현재까지는 언론사 플랫폼 안에서만 제공돼왔습니다. 이마저도 기자들이 댓글 커뮤니케이션을 외면한다거나 댓글 모더레이터를 거부하면서 배척해왔습니다. 댓글을 통한 기자-독자 간 직접 커뮤니케이션은 포털이 제공할 수 없는 유니크한 사용자경험(UX) 중 하나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활성화활 경우 이마저도 잃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뉴스 소비의 플랫폼 종속뿐 아니라 뉴스 소비를 둘러싼 사용자 경험의 포털 종속성 심화를 낳을 개연성이 높습니다. 언론사 뉴스 플랫폼이 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카드를 잃어버리는 격입니다. 언론사가 플랫폼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해야 할 보루 가운데 또 한가지를 포털에 내주는 결과를 낳을까 더 염려됩니다.

결론

독자(인터넷에선 사용자)들의 현명한 판단 능력을 배제한 채 전개된 논리는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게시된다고 독자들이 정부/기업 편향으로 쏠릴 것이라고 보는 견해는 근거와 타당성도 빈약합니다. 저널리즘 원칙을 지키지 못한 기사는 오피셜 댓글에 의해 압도당하겠지만 역으로 신뢰를 얻지 못하는 일방적 주장을 담을 오피셜 댓글은 독자들의 유희 거리가 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널리즘의 위상이 땅에 떨어진 현실을 어느 정도 살펴본 이라면 오피셜 댓글이 가져올 위험성이 다소 부풀려지고 있다는 데 어느 정도 동의하지 않을까 합니다.

참고 자료

포털에 드리는 제언

1.

저는 오피셜 댓글이 댓글로서의 위상을 지니길 기대합니다. 댓글로서 위상을 갖는다는 의미는 그것의 삭제나 수정, 노출의 제한 등에 있어서 이미 공표된 댓글의 운영원칙이 오피셜 댓글에도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단순히 외부의 정치적 압박에 의해 도입된 것이 아니라면 현재 댓글에 적용되고 있는 원칙이 그대로 이어져야 할 것입니다. 오피셜 댓글이 특정 대상을 비하하거나 내용과 관련 없는 글일 경우 ‘삭제’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포털은 정치적/자본의 외압에 의해 오피셜 댓글을 도입했다는 오명을 얻게 될 것입니다. 만약 오피셜 댓글이 댓글의 위상과는 다르다고 한다면 그것 나름의 운영 원칙이 먼저 마련되고 공개돼야 합니다.

2.

이해당사자로서의 개인을 반드시 오피셜 댓글로 보장해줘야 할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검토’라는 표현으로 회피할 성질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언론의 보도로 인한 실질적 피해 범위와 영향은 기업보다 개인이 더 클 수 있습니다. 구제 가능성만 보더라도 기업이나 정부보다 개인이 훨씬 낮습니다. 이 부분이 조속한 시일 안에 보장되지 않는다면 오피셜 댓글 개편의 진의를 의심받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