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1일(월)~28일 미디어고토사가 정리한 미디어 트렌드
10월 21일 포스트 1 : 제목 없음 나의 코멘트 : 쿼츠가 유자베이스에 인수된 뒤로 사정이 그리 좋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2018-2019년, 월순방문자수가 11% 하락했고, 전체 광고 매출도 늘어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결국, 케빈 덜레이니와 제이 로프(Jay Lauf)이 지난 9월 자리에서 내려왔네요. 쿼츠를 지금의 위상으로 올려놨던 두 명의 핵심 멤버가 사실상 쿼츠와 결별하게
한국 언론 '잃어버린 10년' 벗어나려면
10년이 사라졌다. 시계추는 멈춰 섰고 시침은 갈 길을 잃어버렸다. 먼지는 수북수북 쌓여가고 있어 다시 작동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고장 난 원인도 알고 결과도 흐릿하게나마 보인다. 하지만 고칠 생각은 않고 옆집 새 시계만 들여다본다. 한국 언론의 풍경을 묘사하자면 딱 이러한 형국이다. 바야흐로 인쇄 미디어의 시대에서 디지털 스트리밍 미디어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신문을
일베와 오타쿠, 포스트모던 세대의 전면화
“오타쿠들이 사회적 현실보다도 허구를 택하는 것은 양자를 구별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사회적 현실이 부여하는 가치규범과 허구가 부여하는 가치규범 중 어느 쪽이 그들의 인간관계에 유효한가, 그 유효성을 저울질 한 결과이다. 오타쿠들이 취미의 공동체에 갇히는 것은 그들이 사회성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인 가치규범이 잘 기능하지 않아 다른 가치 규범을 만들
CMS 만능론과 이해론, 그 갈림길에서
CMS라는 저작/편집 소프트웨어에 대하여이정환 대표님의 댓글에 대한 짧은 생각을 정리를 하다가 좀 길어져서 여기에 옮겨 적습니다. 지금은 CMS로 통칭되는 뉴스 저작/편집 소프트웨어(그 전에는 기계)는 저의 부족한 관찰이긴 하지만 3가지 속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고 합니다. 1) 생산 등 속도의 향상 : 예전 윤전기의 역사에 대해 글을 쓸
퍼블리의 뉴스 서비스와 뉴스 생태계의 재구성
대략 어떤 내용이냐면 : 퍼블리가 뉴스 서비스를 곧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서비스 형태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그들의 웹 서비스와 향후 출시될 모바일 서비스 등에 뉴스와 관련한 콘텐츠가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테크, 비즈니스, 투자, 마케팅이 주된 뉴스 영역인 듯 보이고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보도된 뉴스를 바탕으로 해석을 달아주는 뉴스 분석
[기고] 400년 구독의 역사로 본 디지털 구독의 현재와 미래
18세기 유행했던 구독이 저널리즘 영역에서 다시 뜬 이유는 “앞서서도 설명했지만, 언론사의 수익 모델은 당대의 경기 상황 그리고 기술적 조건의 변화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현재의 디지털 구독 모델은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수익 모델이 아니다. 스트리밍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 디지털 파일의 소유를 둘러싼 수많은 저작권 분쟁, 그리고 2000년대 후반의
신문 지국 위기 = 신문의 위기
인용한 기사 : 신문 배달이 위험하다 이 기사를 읽으면서 인용된 논문도 찾아봤습니다. 현재 메이저 신문사가 지닌 신문 유통 체계의 구조적 취약점을 정리해보면 지국의 붕괴 -> 신문 구독/판매 붕괴 -> 광고 상품의 붕괴 -> 신문 위기 이런 식으로 전개될 개연성이 높네요. 광고 시장의 붕괴보다는 지국 체계의 붕괴로 인해 신문 위기가 발생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