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언론사에 프로덕트/서비스 접근이 긴요한가
출처 : 출처 : https://www.journalismfestival.com/photogallery/2019/4/#nanogallery/gallery/2044 국제저널리즘페스티벌은 꽤나 흥미로운 행사입니다. 유럽권 언론사들의 다양한 저널리즘 실험들이 공유되고 미래를 고민하는 자리여서입니다. 유럽권은 영미권과는 또다른 흐름을 갖고 있습니다. 영미권에선 적용되는 사례들이 유럽권에선 미미한 조류로 그치고마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어쩌면 국내 언론 종사자들이 조금더 공감할 수 있는 트렌드가
네이버 찾아간 지역언론에 드리는 제언
네이버를 향한 지역언론사들의 분노가 여기까지 들리네요. 네이버에서 지역 뉴스를 볼 수 없는 지금의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충분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네이버는 내부 사정 등을 이유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압니다. 제휴평가위원회의 논의 대상에서도 빠져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2019년 5월 23일 : “네이버, 지역언론 차별 말고 대화에 나서라” 2019년 5월 1일
문재인 대통령 3.1절 기념사 워드클라우드
NIA 사전으로 분석 NIA 사전 결과 한미공조 1회 한반도 12회 할 8회 함성 3회 합의 2회 세종 사전으로 분석 Sejong 사전 결과 한반도 5회 한반도에 1회 한반도에서 1회 함성 3회 합의 2회 install.packages(“rJava”) install.packages(“KoNLP”) install.packages(“wordcloud2”) library(rJava) library(
애플뉴스플러스 vs 뉴욕타임스, 생명줄의 외주화
뉴스 요약 : 애플이 애플뉴스를 업데이트하면서 애플 뉴스 플러스라는 상품을 3월26일 내놨습니다. 구독 서비스입니다. 300여 종의 잡지, 그리고 신문들이 포함돼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 LA Times와 같은 구독 기반으로 운영되는 쟁쟁한 언론사도 합류했습니다. 단,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는 계약을 거부했습니다. 구독료는 9.9달러. 이 많은 언론사들을 구독하는데 단 9.9달러밖에 들지 않는다는 건 매력적입니다. 심지어 가족
인스타그램 쇼핑-구매 기능 출시와 네이버
방문-구매로 과정의 유기적 관계가 셀렉티브는 성긴 반면, 인스타그램은 치밀
뉴스 기사를 읽은 뒤 독자들이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네 가지 질문(그리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아래 글은 니먼랩이 자사 홈페이지에 게시한 기사 ‘Here are the four most common questions readers have after consuming a news article (and how to answer them)‘를 전문 번역한 것입니다. 니먼랩 측의 ‘간접적’인 동의와 요청을 일정 수준 받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 아직 직접적이고 공식적인 협약을
젊은층은 뉴스를 어떻게 소비할까
보고서를 훑어보고 나서 로이터의 보고서(How Young People Consume News and The Implications For Mainstream Media)를 꼼꼼하게 마지막까지 읽지는 못했습니다. 주요 내용만 추려서 소개합니다. 짧은 소감을 전한다면, 한국의 젊은 뉴스 소비자층과 생각보다 특성이 다르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메디아티에 근무하는 동안 20~30대를 대상으로 한 오디언스 조사를 적잖게 접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페이페이 리-유발 하라리 대담을 읽고 나서
원문(읽은 글) : WILL ARTIFICIAL INTELLIGENCE ENHANCE OR HACK HUMANITY? 일종의 관전평이랄까요. 짧게만 쓴다면. 유발 하라리와 페이페이 리의 대화는 그리 원만하진 않더군요. 이는 페이페이 리가 지적한 바와 같이 “AI가 전능하다(omnipotent)는 가정 하에서 대화를 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AI가 전능하다는 전제에서 세상을 이해하려고 하다 보니 둘의 토론은 가끔 논점을
제일기획 크게 빗나간 광고비 매출 예측의 함의
[업데이트 : 2020년 5월17일] 2019년 광고 매출에 대한 제일기획의 예측과 결산 2019년 제일기획의 광고비 전망과 결산 치를 비교해봤습니다. 2018년 예측-결산 자료는 아래에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서 천천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지상파 TV 광고 : 올해도 제일기획은 지상파TV 광고 시장의 예측에서 큰 오차를 냈습니다. 2018년에도 이 영역에서 가장 큰 괴리를 낳았습니다. 제일기획은
글 잘쓰는 AI 'GPT-2'와 저널리즘 역할론
언어 모델은 비지도 복합작업 학습자(Language Model are Unsupervised Multitask Learners) 논문 원문 링크 도입 우리는 개별 작업을 위해 트레이닝 데이터 세트를 라벨링하거나 수동으로 만드는 작업 없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보편 시스템을 만들고 싶었다. 멀티태스크 러닝은 보편적인 작업수행(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유망한 프레임워크다. 현재 언어 관련 작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