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지난 6월의 주말은 이 놈과 함께 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덕분에 집 근처 스터디 카페와 무척 친해질 수 있었죠. A4 30페이지를 채우는 게 원래 이렇게 힘든 작업이었나 싶었습니다. 미디어고토사에 올리는 글이 평균 A4 3페이지 내외인데요. '10건 정도만 쓰면 되겠군'이라며 가볍게 생각했더랬습니다. 결코 그게 아닌데...

언론진흥재단 해외미디어미디어 동향 기획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저 제목의 아이디어를 제가 냈습니다. 실은 제가 궁금해서 발제를 했습니다. 하지만 아이디어 발제는 원고 청탁으로 되돌아 오더라고요. (ㅋㅋㅋ) 몇 차례 능력이 안된다며 고사를 했으나, 마냥 거절할 수도 없었습니다. 사고는 제가 쳤으니 수습도 제가 하는 게 맞죠.

저 발제를 할 때 한창 탈포털이 유행어처럼 번지고 있었습니다. 당연히 해외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었죠. 체계적으로 정리한 글은 해외에도 거의 없더군요. 단편, 단편, 단편들. 결국 사례를 한데 모아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서 탈포털을 구상하는 국내 언론사들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해 드리고 싶었습니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말이죠.

미디어 새판짜기 : 플랫폼 주도 시대 미디어의 대응 전략
‘탈포털‘과 OTT 대응을 언급하는 빈도가 산업 안에서 늘어나고 있습니다. 포털의 뉴스 정책 변경이 예견되면서 외재적으로 고민이 강제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언론계 내부에선 ‘때가 온 듯하다’라고 느끼는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탈포털은 그것을 외친다고 이뤄지지 않습니다. 전면적인 탈포털이 가져올 위험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오히려 역효과만 낼 수 있습니다. 언론이 포털에 종속된 구조가 다층적이어서입니다. 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