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퍼포먼스 마케팅이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위험성과 두 개의 출구전략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 수요가 폭증하고 공급 물량에 매우 늦은 속도로 증가하자 페이스북, 구글/유튜브 등의 광고 단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효율성이 떨어지자 위시 고객이 줄었습니다. 그 결과 위시(Wish)의 경우 21년 2/4분기 이후 구조조정을 시작했으며 고객획득 방법으로 퍼포먼스 마케팅을 일시 중지했습니다. 위시의 3/4분기 실적은 더욱 처참합니다. 위시의 적극 이용자는 5,200만 명-2/4분기-에서 4,600만 명-3/4분기-으로 크게 축소되었습니다. 1년 전 6,800만 명과 비교하면 1년 사이 2,200만 명의 적극 이용자가 빠진 꼴입니다. 상황이 이렇게되자 21년 11월 10일 위시의 CEO가 자리에서 물러났습니다. 위시는 신규 고객확보를 퍼포먼스 마케팅에 전적으로 의존한 기업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의 한계를 보여준 위시(Wish)
21년 5월 18일 Exciting f(x)는 위시와 알리익스프레스를 비교 분석하는 글을 발행했습니다. 위시의 21년 1/4분기 실적 자료를 바탕으로 위시의 적극 이용자(Annual Active Consumers)가 20년 하반기 6,400만명에서 21년 1/4분기 6,100명으로 줄어든 사실을 지적했습니다(-3%). 위시(Wish)의 고객획득 중심 전략은 지금까지 애드테크(Adtech) 기술에

광고 단가의 급증 + 쿠키없는 세상

퍼포먼스 마케팅이 마주한 도전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앞서 설명드린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에 따른 광고 가격의 (급)상승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페이스북의 경우 CPM 기준 46%, 인스타그램은 11% 상승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수 이커머스 스타트업의 경우 손해를 감수하면서 신규 고객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VC 등) 자본이 뒷배 역할을 하기에 (당분간) 퍼포먼스 마케팅은 지속 가능합니다. 그러나 상장한 이커머스 기업은 상황이 다릅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으로 고객확보에서는 (비효율적이지만)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재구매율 등이 떨어질 경우 상장으로 흘러들어온 자본이 빠르게 줄어들 위험이 있습니다. 위시(Wish)가 이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