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초 뉴욕타임스의 편집인 딘 바케이가 기자들에게 한 가지 부탁을 했다. “트위터를 좀 적게, 신중하게 사용하고 기사를 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쓰길 바란다”는 내용이었다. 계속 트위터를 사용할 거라면 트윗을 하거나 스크롤링하며 플랫폼에서 보내는 시간을 의미 있게 줄이는 것이 좋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곧 편집인 자리에서 내려오는 마당에 그가 이런 껄끄러운 부탁을 기자들에게 한 건 여러 연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다.
뉴욕타임스의 전 기술문화 담당 기자였던 테일러 로렌츠의 인터뷰가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후문이다. 그녀는 뉴욕타임스 등에 근무할 당시 트위터를 통해 심각한 괴롭힘을 당했다. MSNBC와의 인터뷰에서 극단적 선택을 고민하기까지 했다고 고백1)할 정도였다. 트위터를 통해 받은 수많은 모욕과 온라인 괴롭힘이 기자들에게 전이되면서 외면 못할 지경에 이른 것이다.
물론 딘 바케이 편집인이 전례를 뒤집는 새로운 원칙을 기자들에게 주문한 건 이 사건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는 “보도나 피드백 도구로 트위터에 너무 많이 의존하고 있다. 우리의 피드가 에코 체임버(echo chamber)가 될 때 특히 더 우리 저널리즘에 해롭다”고도 언급했다. 트위터에 머무는 시간이 많을수록 기자들은 편향된 의견들에 압도당하고 그것을 여론으로 착각하는 왜곡된 인지편향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 것이기도 했다.
딘 바케이의 이러한 인식은 근거가 전혀 없지 않다. 지난 3월 발행된 이지혜 등(2022)의 논문을 보면 그의 요청이 충분히 설득력을 지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들 연구진은 2016년 미국 대선을 취재했던 기자 73명의 트윗, 기사, 방송 스크립트 22만 건 이상을 분석해 기자들이 트위터에서 더 인지편향적 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