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간 정치적 양극단화의 정도는 얼마나 심각할까요? 어떤 잣대로 보느냐에 따라 크게 출렁일 수 있을 겁니다. 특히나 정치 현장 혹은 포털이나 소셜미디어, 커뮤니티 댓글의 렌즈를 통해서 양극단화의 정도를 평가하면 회복불능의 지점에 도달한 것처럼 이해될 수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평가하는 접근법이 현실을 제대로 바라보는 방식일까요? 특히 기자들이라면 어떻게 바라보는 것이 현실과의 갭을 줄이는 방법일지 더욱 궁금하실 겁니다.
저널리즘의 중요한 책무 중 하나는 공동체가 현명한 판단을 내리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진실이라는 개념을 활용하는 것이죠. 진실에 가장 가까운 무언가를 수용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민주적 공동체를 위한 합리적 선택과 결론에 이르도록 돕고 지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널리즘의 역할이 중요한 것입니다.
정치 분야 보도도 여기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나쁜 보도 유형은 진실과 멀리 떨어져 있는 무언가를 수용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그들이 공동체를 위해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걸 방해하는 것입니다. 혼란을 주고 다투게 하고 분열하도록 하는 것, 그것은 저널리즘이라 칭할 수도 없을 뿐더러 칭해서도 안되는 것들이죠. 건강한 저널리즘을 위해선 그래서 수용자가 처한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현실에 대한 인식에 오류나 편향은 없는지 스스로 묻고 의심하고 성찰해야 한다고 하죠.
먼저 정치적으로 극단화한 집단의 규모부터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포털의 댓글이나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보면, 국내 시민의 50% 이상은 극단적인 성향으로 양분화된 것처럼 인식됩니다. 좌 30%, 우 30% 이렇게 대략 60% 내외로 판단하는 경향일 띱니다. 정기적으로 발표되는 설문조사를 봐도 이렇게 사고하는 게 자연스러울 정도입니다. 하지만 정말 현실이 그러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