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스트 자긍심의 복원은 저널리즘과 민주주의의 연결 관계를 탐색하는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널리즘이 공공적 가치와 결합하지 못하고 그것과의 함수관계가 과거보다 더 모호해진다면 저널리스트라는 전문직으로서 호칭과 위상은 사회적으로 평가받기 어려워집니다. 그저 더 많은 급여를 받는 고소득 직종 혹은 더 많은 정치적 경제적 권력과의 관계 맺기가 가능한 특권 계층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집단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을 겁니다. 만약 이러한 위상으로 남아있거나 추락할 경우, 수용자/여론의 수탁자로서의 특권적 접근권은 인정될 수가 없게 됩니다. 모든 분야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게 되는 것인가에 대한 본질적 회의로 되돌아 오게 되는 것이죠.
당신이 놓친 글
ChatGPT 등 LLM이 저널리즘과 수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유
by
2023년 2월 25일
'김만배 돈거래' 한겨레 사태와 2003년 NYT 블레어 스캔들 : 시걸 위원회에서 배우는 수습 방안의 힌트
by
2023년 1월 13일
탐사보도의 '부정성 편향' 한계를 솔루션 저널리즘으로 해결한 사례
by
2022년 7월 29일
감시견 저널리즘은 뉴스 신뢰회복에 도움이 될까?
by
2022년 7월 25일
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