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북
[살롱 발표 자료] AI 시대의 뉴스 저작권 이슈와 대응 전략
9월 21일(목)이 개최됐던 더코어 살롱의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강정수 더코어 비즈니스 에디터 : 거대언어모델과 저작권이성규 더코어 미디어 에디터 : AI 저작권 방어 논리 : OPENAI vs NMA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저작권과 AI
9월 21일(목)이 개최됐던 더코어 살롱의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강정수 더코어 비즈니스 에디터 : 거대언어모델과 저작권이성규 더코어 미디어 에디터 : AI 저작권 방어 논리 : OPENAI vs NMA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저작권과 AI
생성 AI 모델의 학습 데이터 저작권을 둘러싼 논란으로 전세계적가 뜨겁습니다. 특히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뉴스 콘텐츠가 허락없이 학습 데이터로 활용된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지금은 불쾌감을 넘어 소송으로 번지는 형국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이슈는 미국에서 먼저 불거졌습니다. 거대언어모델을 빠르게 개발하고 학습시켜 상업화한 기술 기업들이 대부분 미국 내에 존재해서입니다. 오픈AI나 구글이 대표적입니다.
누구에게 유익한가뉴스레터를 오래 운영해 오고 있지만 수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언론사 담당자오픈율, 구독자수를 제외하고 의미있는 뉴스레터 성공 지표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담당자타깃 수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뉴스레터 포맷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고민에 빠져있는 언론사 담당자유료구독과 뉴스레터를 어떻게 리포지션을 할 때 구독 수익이 오르는지 방법을 찾고 싶은 언론사 담당자목차뉴스레터를 시작하기에 앞서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