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방송 기고] 뉴욕타임스가 되지 못한 버즈피드가 한국 언론에 던지는 메시지

신문과방송 6월호에 기고한 글이 공개가 됐네요. 제가 발제하고 제가 쓴 글이 되어버렸습니다. '버즈피드 뉴스'를 사실상 문닫으려고 하는 버즈피드 쪽의 태도와 정책을 바라보며, 한번은 이 과정을 맥락적으로 비평해 볼 필요가 있다고 봤거든요. 치밀하게 들여다보지 않으면 '뉴스는 돈이 안된다'라는 인식을 국내에서도 확산시키거나 공고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들여다보면 꼭 그렇게 볼 일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좀 깁니다. 그래도 전문을 모두 읽어보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 글을 쓴 뒤 저는 다시, 버즈피드의 탈플랫폼 전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글작업을 시작했습니다. 버즈피드, 참 오묘한 디지털 미디어입니다.


버즈피드는 자신을 배우려 애쓴 올드 미디어 뉴욕 타임스처럼 되지 못했다. 둘 모두 시장에 상장된 뉴스 미디어 기업이지만, 한쪽은 주가 하락을 명분으로 해고와 뉴스룸 해체를 종용하는 투자자에 시달 리고 있고 다른 한쪽은 더 원대한 목표를 제시하며 투자자의 신뢰를 얻어가고 있다. 버즈피드는 그렇다고 액시오스처럼 독립된 플랫폼으로 수익 모델을 더 빠르게 키워가지도 못했다. 2021년 부랴부랴 ‘미디어 커머스 기업’을 표방하며 전면적인 전환에 나 섰지만, ‘조금 더 일렀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기고 있다.

버즈피드는 ‘저널리즘은 돈이 안 되는 거야’를 믿고자 하는 이들에게 그들의 편견을 강화하는 나쁜 선례를 남겼다. 조나 페레티의 고집스러운 플랫폼 의존 전략과 네이티브 광고 의존이 빚어낸 경영상 의 비극임에도 연쇄 해고라는 결과는 미세한 원인 분석을 잊게 만들었다. 복스미디어(Vox Media), 액시오스와 같은 건강한 뉴스 미디어 스타트업이 건 너편에 존재함에도 이들을 압도해버리는 여론을 형 성해 버렸다. 무엇보다 플랫폼 기생 비즈니스를 경계하지 않으면 그 부정적 영향에 노출되는 첫 타깃 은 저널리즘과 뉴스룸이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각인시켰다.

버즈피드 뉴스 초기부터 근무하며 워 싱턴 D.C. 지사장까지 올랐던 케이트 노세라(Kate Nocera)조차도 올초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회사가 뉴스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진심으로 제공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털어놓을 정 도였다. 대형 플랫폼에 대한 집착이 저널리즘에 적합한 수익 모델 도입을 늦췄다는 맥락에서다.

또 한 가지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면, 벤처캐피털 펀드 기반의 미디어 스타트업 모델은 적정 시점에 ‘흑자 전환’을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는 냉혹한 명제 다. 국내 밴처캐피털 투자자라고 해서 자본의 본질 적 속성에서 비켜나 있지 않다. 적자 상태가 지속되는 한 저널리즘 이해도가 낮은 투자자들은 언제건 부정적 태도로 돌변하고 만다. 최근 닷페이스의 해 산 소식은 적정 규모의 수익을 기대 시점에 달성하지 못했을 때 저널리즘에 어떤 영향이 드리울지를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버즈피드가 해고를 택했다면 닷페이스는 해산을 선택한 점이 다를 뿐이다.

[전문] 한 때의 롤모델, 망가지는 버즈피드 뉴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더코어 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