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가속주의와 21세기의 시작
2025년 우리는 마침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미국 4개 빅테크 기업은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을 AI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칩은 AI 추론(inference)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도 엔비디아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알리고 있습니다. 태양광은 미래의 지배적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준으로 여겨왔던 많은 틀과 프레임을 무너뜨리는
2025년 우리는 마침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미국 4개 빅테크 기업은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을 AI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칩은 AI 추론(inference)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도 엔비디아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알리고 있습니다. 태양광은 미래의 지배적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준으로 여겨왔던 많은 틀과 프레임을 무너뜨리는
메타가 24년 7월 29일 AI Studio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미국에 제한되지만 인스타그램 이용자 누구나 AI Studio를 통해 자신만의 AI 챗봇을 만들 수 있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 챗봇 시장에 메타 또한 도전장을 던진 겁니다. 현재 AI 챗봇 시장은 Character.ai와 Talkie가 선두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
“AI 관련 정말 미친 한 주였어요(What a crazy week for AI)”, 인공지능 학자이자 유명한 팟캐스트 운영자 렉스 프리드먼(Lex Fridman)의 표현입니다. 지난 한 주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요? 오픈AI가 SearchGPT를 출시했습니다. (당분간 테스트가 진행되고 공식 출시는 연말입니다.)메타가 오픈소스 라마(Llama) 3.1을 공개했습니다. 성능이 짱이라고 합니다.프랑스 Mistral
어떤 업계든 '가격'은 늘 뜨거운 감자입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특히 가격에 관한 논의가 활발한 영역이 있습니다. 바로 구독 서비스 분야입니다. 아마도 쿠팡이 최근 와우 멤버십 가격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크게 인상했기 때문인 듯합니다. 일각에선 쿠팡의 가격 정책이 성공할지, 경쟁사에 미칠 영향은 어떨지 분석합니다. 어떤 기업은 쿠팡 등 다른 기업의
지난 11일에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무산될 위기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양사는 곧바로 무산설이 사실이 아니며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상황을 보면 주주 간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단계이며, 과정이 그리 순조롭진 않아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티빙과 웨이브, 그리고 국내 콘텐츠 업계 전반에서 "합병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있다 보니 어떤
매우 촘촘하고 다양한 근거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AI 거품' 주장이 등장했습니다. 이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거셉니다. 첫 번째 AI 거품을 주장한 곳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입니다. 25년 6월 25일 발행된 31쪽 분량의 보고서 “생성 AI: 너무 많은 비용, 너무 적은 이득?(Gen AI: Too much spend, too little benefit?)”은 AI에
I am starting a new company: https://t.co/BG3K3SI3A1 — Ilya Sutskever (@ilyasut) June 19, 2024 오픈AI의 공동창업자이자 수석과학자였던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가 새로운 AI 회사를 세웠습니다. 수츠케버가 오픈AI를 떠나고 약 한 달 만의 일입니다. 6월 20일 수츠케버는 "Safe Superintelligence Inc.(SSI)를 설립해 안전하고 강력한 AI 시스템
금융시장도 AI로 인한 격변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단순히 업무 방식이 바뀌는 걸 넘어, 업의 속성 자체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사실 금융권에선 이미 AI를 적극 활용 중입니다. AI를 리서치에 활용하는 건 물론, 아예 AI가 애널리스트처럼 리포트를 쓰기도 합니다(물론 AI 리포트를 그대로 사용하기엔 아직 갈길이 멉니다). AI는 특히 트레이딩 영역에서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6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한 발언들이 화제입니다. 성 실장은 ▲상속세 30% 내외로 인하 ▲종부세 사실상 폐지 ▲금투세 폐지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상속세, 종부세, 금투세 모두 정치・사회적으로 논쟁적인 주제이다 보니 성 실장의 발언에 대해 여러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 글에선 그중에서도 금투세에 관해
Apple Intelligence에 대한 다양한 보도와 분석이 있습니다. 이 글은 분명한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Apple Intelligence는 AI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moment)입니다. 이 부분은 아직 많은 보도와 분석에서 제대로 시각화되지 않았습니다. 이 역사적 순간을 설명하기 위해 가장 먼저 스티브 잡스를 두 번 호출하겠습니다. 첫 번째 호출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의 AI PC 전략을
캐시 우두의 아크 인베스트는 2029년 테슬라 주가가 2,600달러까지 치솟을 가능성을 50%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3,1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은 25%입니다. 나머지 25%는 2,000달러입니다. 저는 이는 지나치게 낙관적이라 평가합니다. 아크 인베스트의 주가 예측 근거를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중요한 오류를 분석하려 합니다. 테슬라 다수 주주들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에 대한
글로벌 13조원 규모의 콘텐츠 시장이 뜨고 있습니다. '숏폼 드라마' 시장 이야기입니다. 숏폼 드라마(Micro-drama라고도 합니다)는 중국에선 이미 주류가 됐고, 북미에선 (한때) 틱톡보다 많이 다운로드된 플랫폼을 배출했습니다. 국내 앱스토어/구글플레이 랭킹에서도 숏폼 드라마 플랫폼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숏폼 드라마가 무엇이며, 어떻게 대중의 소비를 이끌어내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중국의 대표 숏폼 드라마
최근 로봇공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기계공학의 새로운 응용 영역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관련 산업에 큰 시장 잠재력을 제공하며, 때로는 기존 시장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가치창출 네트워크 구축에 능숙해야 합니다. 로봇공학의 성공은 단순히 하드웨어의 발전에 그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