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과 웨이브 합병, OTT 시장 판도 바뀔까?
Picks[1] 티빙과 웨이브 합병, OTT전쟁 판도 바뀔까? 1) 티빙과 웨이브, 합병 필요한 이유는? 29일 두 회사의 합병 소식아 나왔죠. 웨이브 출범 무렵부터 합병 논의는 있었고, 꾸준히 합병설이 제기돼 왔었는데요. 왜 그간 안되다가 이제 성사 움직임이 생겼을까요? 아무래도 누적되는 적자가 큰 문제입니다. 매년 적자폭은 커지다보니 동반해서 콘텐츠 경쟁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에
Picks[1] 티빙과 웨이브 합병, OTT전쟁 판도 바뀔까? 1) 티빙과 웨이브, 합병 필요한 이유는? 29일 두 회사의 합병 소식아 나왔죠. 웨이브 출범 무렵부터 합병 논의는 있었고, 꾸준히 합병설이 제기돼 왔었는데요. 왜 그간 안되다가 이제 성사 움직임이 생겼을까요? 아무래도 누적되는 적자가 큰 문제입니다. 매년 적자폭은 커지다보니 동반해서 콘텐츠 경쟁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에
안녕하세요. 김경달입니다. 오늘은 Tech Trend에 대한 668쪽짜리 보고서를 소개합니다. The Future Today Institute(대표 Amy Webb)에서 매년 펴내고 있는 보고서인데요. AI부터 메타버스, Connected Home, Energy & Space까지 14개 분야에 걸쳐 예시와 전망을 담고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가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주 금요일(4월8일)에 블루닷 세미나가 열립니다.
안녕하세요. 씨로켓 김경달입니다. 얼마전 일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의 창시자의 이름 '사토시 나카모토'가 삼성 도시바 등의 회사로고에서 따온 것이라는 농담성 이미지를 트윗한 적 있는데요. 일론이 창시자 아니냐는 질문도 꾸준했던 터라, 관련 정보를 검색하며 찾아보면서 관심이 계속 커지더군요. 때마침 그의 10년치 트윗을 분석한 글을 발견해서 우선 이걸 소개합니다. 더불어 몰랐던 정보들도 많이 접했는데요.
안녕하세요. 씨로켓 에디터 김경달입니다. 오늘은 '가디언'이 소개한 작고 사소하지만, 심신의 평화를 얻는데 도움되고 일상 생활에 유용할 수 있는 조언들을 공유합니다. 더불어 틱톡에서 넷플릭스와 타코벨 등 브랜드들이 성과를 얻은 성공사례를 소개합니다. 최근 틱톡이 내놓은 'What's Next?'라는 제목으로 마케팅 인사이트를 담은 리포트를 함께 전합니다. BTS의 성공키워드를 집중 분석, 칼럼으로 연재중인 임성희박사의
안녕하세요. 씨로켓의 김경달입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요. 푸틴이 잘못된 욕심을 하루빨리 접고 평화가 찾아오길 기원하는 마음입니다. 이번 사태 관련 미디어들이 '정보전쟁' 차원에서도 다룬 기사가 제법 보여서 소개합니다. 서구사회의 대러 제재와 궤를 같이 하는 Big Tech기업들의 발빠른 반전 움직임도 잇따르고 있어 모아봤습니다. 요즘 씨로켓에 신간을 보내오는 출판사가 많이 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