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구글글래스의 실패를 넘어설까?
페이스북이 스마트안경을 내놓았죠. 유명 선글래스 브랜드 '레이밴'의 제조사(에실로룩소티카)와 협업해서 만든 제품인데요. ‘레이밴 스토리(Ray-Ban Stories)’란 이름으로 9일 공개했습니다. 1. '페이스북 스마트 안경' 특징과 주요 기능 일반적인 레이밴 선글래스와 유사한 외형을 가진 이 스마트 안경은, 종전 구글 글래스와 유사하게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서비스를 염두한 제품으로 기대했는데요. 하지만
매트릭스4, 이번에는 파란약?
며칠간 매트릭스4(The Matrix Resurrections) 얘기가 계속 이어질 듯 합니다. 어제 Teaser 사이트와 영상 일부가 공개됐고 오늘 Full Teaser 영상이 공개될 예정이죠. 우선 티저 사이트에서 맛보기 영상을 한번 보시죠.(워너에서 1,440개의 클립을 사전 준비해서 뿌려주고 있다네요) 당신의 현실을 선택하세요매트릭스는 어디에나 있습니다. 지금 여기에도 있죠. 새로운 현실을 체험하기 위해 선택하세요,
[Y Trend] 유튜브 슈퍼챗과 가세연
어제 오늘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의 출연진인 강용석, 김세의, 김용호 등 3인을 체포했다는 언론보도가 잇따랐죠. 체포된 3명은 사이버 명예훼손과 모욕 등의 혐의로 10여 건 이상 피소됐고, 10차례 넘는 경찰의 출석 요구에 불응해 최근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집행한 거라는게 경찰의 설명인데요. 한가지 특이한 점은, 체포과정에서 10시간 넘게 대치상황을 벌였고 유튜브 생방송도 진행했다는 겁니다.
[단상] '개그콘서트'와 디지털 전환
소식, 들으셨죠? 작년에 '폐지'됐던(휴식기를 선언하며 잠정 중단됐던) KBS '개그콘서트'가 '로드 투 개콘'으로 부활합니다. KBS 코미디 프로그램 부활…‘로드 투 개콘’ 11월 첫 방송지상파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이 부활합니다. KBS는 코미디 서바이벌 프로그램 ‘로드 투 개콘’(가제)을 오는...KBS뉴스'개콘'은 1999년 7월에 파일럿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었네요. 97년말 발발한 IMF로 온 나라가
[유튜브 트렌드] 리액션 좋은 K- Food!
유튜브에서 흥하는 포맷 가운데 하나로 '리액션 영상'이 있다. 이를테면 '박효신 야생화 해외반응'이나, 'BTS 해외반응'과 같이 영상을 보면서 리액션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 포맷이다. 그런데 영상을 통한 간접적 리액션이 아닌 직접 체험하면서 보여주는 리액션 영상도 있다. 구독자가 420만명이 넘는 영국남자 채널의 경우, 한국음식을 맛보는 영국사람 및 외국인, 해외 유명연예인들의 '핫한 리액션'을
넷플릭스의 극장개봉, 노림수는?
넷플릭스를 필두로한 OTT 시장이 커지면서, 극장업계에선 공포스런 위기감과 함께 반대 목소리가 컸고 양쪽 사이의 긴장감도 높았는데요. 최근 넷플릭스가 기존과는 다르게 '극장 개봉' 확대 움직임을 보이면서 지형도상 변화가 생길지, 눈길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근 시네마콘(CinemaCon)에서 발표된 JP모건 보고서에 따르면, 넷플릭스가 앞으로 전통적인 극장 개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JP 모건 애널리스트
유연근무제에 대한 5가지 오해
"유연근무제,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게 아닐까? "이론적으로는 훌륭할 지 몰라도, 우리에겐 효과가 없어요." 코로나와 함께 재택근무가 늘면서 유연한 근무제도(Flex Work/ 원격 근무, 시간 단축, 비동기식 스케줄 등)에 대한 논의가 많죠. 그런데 경영진들은 먼저 두려움을 갖게 됩니다. 근로형태를 유연하게 허용했을 때, 자칫 위험한 선례를 남기는게 아닐까 우려가 많은 것이죠.
산악인 김홍빈의 산 너머 삶
산악인 김홍빈. 올해 7월 18일 그는 해발 8,047m 히말라야 브로드피크 정상에 올라, 장애인으로서 세계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 기록을 세운 인물입니다. 그렇지만 하산길에 조난을 당했고, 긑내 히말라야에서 영원히 잠들게 됐지요. 많은 이들이 그 소식에 안타까움을 금치 못했는데요. 오늘(8월 29일) KBS에서 '산악인 김홍빈 산 너머 삶'이란 제목으로 특집 다큐멘터리를
"메타버스가 가져올 변화와 기업의 대응"
26일 오후 '메타버스' 토론회(한국일보 주최)가 열렸습니다. 유니티코리아 김범주본부장과 퓨처디자이너스 최형욱대표가 매우 압축적이고 알찬 발표를 해주셨어요. 그리고, 과기정통부 이주식과장님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승환박사님이 토론을 해주셨습니다. 씨로켓 운영자인 김경달님이 사회를 맡아 토론회를 진행했는데요. 주요 기사와 함께 유튜브 영상을 공유합니다.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전체 영상(2시간 분량)짬 되시면 토론회 영상을 한번 보시길
KBS에 몸담았던 3년을 돌아보니...!(반성-글)
"요즘 KBS는 어때?" "밖에서 볼 때와 안에서 볼 때, 어떻게 달라?" 지난 3년간 KBS이사(비상임) 활동을 하며 지인들로부터 종종 받았던 질문입니다. 2018년 9월 5일 첫 회의, 이후 매달 적게는 한두번 많을 때는 매주 회의를 이어왔죠. 그리고, 2021년 8월 25일 오늘이 마지막 회의였네요. 그래서 오늘이 스스로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성찰하는 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