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ChatGPT 이번엔 플러그인 기능 공개
'여행 계획부터 예약까지 다 해주는' ChatGPT 플러그인 출시💡ChatGPT의 약점을 굳이 꼽자면, 최신 데이터에 약하다는 것입니다. 데이터 업데이트 이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기간 동안 정보의 공백이 생기고, 그 공백기 동안의 정보에 대한 질문에는 정확한 답변을 하지 못하는 건데요. 지난 23일 오픈AI에서 이 약점을 보완하고 ChatGPT와 특정 웹사이트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ChatGPT
'ESG'에 대한 의심과 진정성 이슈
ESG, 위선 혹은 비효율이란 오명: 투자 수익률 저하와 ESG 워싱 최근 몇 년 동안 ESG는 일종의 비즈니스 트렌드로 엄청난 관심을 끌었는데요. 주식시장에선 ESG 테마주가 인기를 얻기도 했습니다. ESG가 인기를 끈 배경엔 환경과 기업의 건전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향상됐기 때문입니다. 지구온난화와 사회 불평등 문제가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며 경제 주체들, 특히 기업에
[브리핑] GPT-4 달라진 특징은...?
[Mar. W4] GPT4 간략히 살펴보기지난 주, 오픈AI가 GPT-4를 공개했습니다. ChatGPT Plus 구독자는 지금 당장이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PT의 새로운 버전인데요, 이전 버전과 어떻게 다른지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처리 가능이제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한 질문을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도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3장의 사진 각각을 분석한 뒤, 사진
메타의 'AI 선언' 톺아보기 - 정리해고와 광고수익 이슈
지난 3월 1일, 마크 저커버그가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메타도 AI 경쟁에 참여한다’는 걸 선언했죠? 하지만 이를 허풍으로 보는 시선도 많습니다. 메타가 최근 AI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 붓고 있다지만 상용화된 앱을 출시한 적은 없기 때문입니다. 저커버그도 그런 시선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메타의 사업 방향에 AI가 들어있음을 더욱 선언적으로 발표한 것
[브리핑] 중국판 ChatGPT 등장?
텐센트, 중국판 ChatGPT 개발중💡ChatGPT가 촉발한 AI채팅봇 열풍에 중국도 동참했습니다. 텐센트가 AI채팅봇 ‘훈위안에이드(HunyuanAide)’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팀을 구축한 것입니다.훈위안에이드? 텐센트는 지난해 4월 자연어 처리 훈련 모델 ‘훈위안-NLP-1T(Hunyuan-NLP-1T)’를 공개했습니다. 영어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사용되는 기존 AI채팅봇을 대체하기 위함인데요. 텐센트는 ‘AI의 중국어 처리를 위한 돌파구를 만들었다’고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어도비-피그마 논란과 빅테크의 반독점 패러독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건이 독점 규제로 지연되고 있단 소식, 꽤 오래전에 들으셨을 텐데요. 최근 EU집행위원회(EC)가 해당 건을 허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해당 건을 허가할지는 불확실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비슷한 소식이 하나 더 나왔습니다. 바로 어도비(Adobe)의 피그마(
[브리핑] '블루메일 차단'과 애플의 보수성 + 리비안 어닝쇼크
‘블루메일 차단’, Generative AI 향한 애플의 보수성💡애플 앱스토어가 이메일 앱 블루메일(BlueMail)의 업데이트를 차단하는 소동이 벌어졌죠? 차단 사유는 블루메일이 GPT-3를 활용한 기능을 탑재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뉴스가 보도되고 1~2일만에 업데이트 차단이 해제되긴 했지만, 애플은 여전히 ‘면밀한 검토가 이뤄졌다’며 Generative AI를 향한 보수적인 태도를 드러냈습니다.블루메일이 탑재한
디지털 노매드, 시작 전 꼭 필요한 준비들
🐪디지털 노매드는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업무를 보는 이들을 가리킵니다. 지정된 사무실에 머무르지 않고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근무하는 모습이 마치 노매드(Nomad, 유목민) 같단 점에서 착안된 용어입니다. 몇년새 원격·재택 근무가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크게 발전하면서 디지털 노매드의 수도 크게 늘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도 꽤 많은 분들이 디지털
[브리핑] 인플루언서👉크리에이터?...메타와 트위터 속 변화
[Mar. W1] 인스타, 페북도 ‘인증 서비스' 판매...SNS와 소통양식의 변화✔️메타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유저를 대상으로 ‘유료 인증 서비스’를 출시합니다. 트위터가 일론 머스크에게 인수된 직후 ‘블루 체크’를 판매한 것과 비슷한데요. 셀럽, 기업 등 유명 유저들에게만 제공되던 인증 기능을 일반 유저들도 (구매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인증 서비스는 메타의
[브리핑] 유튜브, 분사할 때가 왔다!
기사 원문(Link)"유튜브, 분사하면 넷플릭스 2배 값어치 될 것!"이코노미스트에서 '유튜브 분사'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습니다. 요점을 간추렸습니다. 1. 알파벳, 유튜브 잘 챙기고 있나 - 디즈니에서 밥 아이거가 경영에 복귀한 소식과, 넷플릭스에서 헤이스팅스가 퇴진한 뉴스에 비해 2월 16일 유튜브의 수잔 보이치키가 9년 만에 CEO에서 물러난다는 소식은 언론의 관심을 거의 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