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AI가 언론사 신뢰도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 에디터의 노트 : 니콜라스 알렉산더 디아코풀로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커뮤니케이션연구 & 컴퓨터과학부)는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을 언급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연구자입니다. 최근에는 '뉴스 자동화하기 : 어떻게 알고리즘은 미디어를 다시 쓰고 있는가'라는 저서를 펴내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 그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IVIR에서 안식년을 보내고 있는데요. 이 와중에 'Generative AI In the Newsroom'이라는
블룸버그GPT, 국내 언론사도 시도할 수 있을까
언론사가 개발한 첫번째 거대언어모델(LLM), 블룸버그GPT. 이것의 등장은 사실 충격에 가까웠습니다. '언론사도 거대언어모델 경쟁에 뛰어들 수 있는 건가?'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 셈이어서입니다. 자체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기에 언론사들은 기 구축된 언어모델을 변형, 응용 하는 수준에서 도입 검토를 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블룸버그GPT의 등장은 언론사들도 이
[기고] 예속, 다음은 챗GPT다
처음은 뜨거웠다. 모두가 열광했다. 잊고 있는 이들을 만나게 했고, 연결될 수 없었던 사람과 이어질 수 있었다. 관계는 좁아졌고, 세계는 가까워졌다. 소셜네트워크라는 기술은 인간의 외로움을 그렇게 타고 올랐다. 모든 기술 사업이 그렇듯, 성장이 확인되면 사용자를 묶어 떠나지 않게 하는 ‘록인’ 전략이 자연스럽게 뒤따른다. 그래야 돈을 벌고 통제할 수 있다. 록인은 사회학적으로는
3월 마지막주 뉴스 산업 글로벌 트렌드
3월29일✅ 한때 언론인들은 폭스를 뉴스 매체로 옹호했습니다. 그땐 그랬습니다. "이제 우리가 아는 것은 폭스 뉴스가 진정한 의미의 뉴스 조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최고 경영진과 고액 연봉을 받는 황금 시간대 진행자부터 객관적인 뉴스 앵커까지, 도미니언 소송은 이 네트워크가 뉴스를 가장한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라는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3월30일✅ Mather 미디어 수익 심포지엄 2023의 3가지 시사
디애틀랜틱 CEO "구글, 채팅 아키텍처로 전환할 수도"
💡니콜라스 톰슨(Nicholas Thompson) 디애틀랜틱(The Atlantic) CEO. 이 이름이 낯설다면 Wired 전 편집장이라면 어떨까요? 기억이 날 듯 말 듯하나요? 대표적인 테크놀로지 칼럼니스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가 디애틀랜틱 CEO로 넘어간 게 2021년입니다. 기술 전문성에 걸맞는 변화와 혁신의 DNA를 현재 디애틀랜틱에 심어놓고 있죠. 그는 링크드인에서 여러 실험들을 매번 수행합니다. CEO임에도 말이죠.
[논문 번역] GPT-4가 인공일반지능이 되기 위한 8가지 선결 조건
💡GPT-4는 대략 인공일반지능(AGI)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할 수 있을까요? 어느 정도 능력이면 AGI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사실 인간의 지능에 버금가는 인공지능이 탄생했다는 걸 정량적으로 측정한다는 건 상당히 어렵습니다. 지능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도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죠. 이 논문(혹은 백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것도 GPT-4를 대상으로 말이죠.
'0'년차 뉴스 스타트업, 4년차 Grid News 삼킨 배경과 이유
더 메신저의 그리드 뉴스 인수가 국내 미디어 스타트업 산업에 던지는 메시지 2가지... 뉴스 스타트업 투자자 성격도 고려해야
[기고] 뉴스 없는 플랫폼, 그 상상이 필요한 시점
💡언론사람 3월호 기고글의 주제는 '뉴스 없는 플랫폼에 대한 상상'이었습니다. 뉴스에 대한 보상 요구가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법률을 통해서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빅테크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비용을 지불하는 접근법을 우회하기 위해 여러 수단을 동원하고 있죠. 이미 일부 지역에선 뉴스 자체에 대한 접근을 막는 시도도 있었습니다. 한 가지 더 염두에 둬야할 흐름도 있습니다.
[번역] 생성 AI는 기자 업무와 책임 어떻게 바꿀까
💡닉 디아코풀러스 노스웨스턴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특별합니다. 컴퓨터과학으로 박사를 받고 저널리즘 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합니다. 그의 저서 'Automating the News'는 그이기에 쓸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과학자가 저널리즘을? 그래서 그의 연구 대부분은 뉴스와 관련한 알고리즘과 AI에 대한 것들입니다. 현재까진 특이한 이력을 지닌 분입니다. 그가 안식년을 맞아서 '뉴스룸 내 AI'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니즈모델' 2.0로 구독자 늘리는 콘텐츠 전략 짜기
언론사 내 디지털 팀을 맡게 되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주제가 '어떻게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가'입니다. 일단 두루두루 제작해서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이를 통해서 기대하는 만큼의 목표에 도달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입니다. 기왕이면 빠르게 성과에 도달할 수 있는 콘텐츠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밖에 없죠. 막막합니다.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