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미국 비영리 재단 규모
Learn About Tableau
뉴스 미디어는 소프트웨어다
마노비치는 이렇게 운을 뜬다. “우리가 진정 디지털이다라고 한다면 이런 존재의 실제 형식은 소프트웨어에서 오는 것이다” 디지털은 여전히 막연하다. 존재의 실체가 불분명하고 정의가 애매하다. 아날로그에 대칭되는 추상적 관념에 머무른다. 그래서 두껑을 열어봐야 한다. 디지털의 뚜껑을 열면 그 내부엔 온통 코드로 가득차있다. 하지만 코드는 당장 보이지 않는다. 코드는 알고리즘으로 표화되고,
공존의 원칙으로서 관용, 그리고 불관용의 범위
주체사상 기반의 행위에 대한 불관용이 타당할 수도 있는 이유 불관용을 관용하면 불관용이 잔존하게 되고 불관용을 불관용하면 그 자체가 불관용이 된다. 불관용을 관용하든, 불관용을 불관용하든, 불관용의 성립을 부정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불관용의 불관용이라는 조건이 전제되지 않는 관용은 그저 공허한 의미에 불과하게 된다. 이는 ‘모든’ 것이 관용의
[책] 레프 마노비치 '소프트웨어가 명령한다'
“튜링이나 폰 노이만의 디지털 컴퓨터에 대한 원래의 이론적 공식화에는 컴퓨터가 책, 사진, 영화와 같은 다른 미디어를 모방한다는 것과 관련한 그 어떤 것도 없다.” 마노비치(p.77) — Sungkyu Lee (@dangun76) July 13, 2014 “우리가 진정 디지털이다라고 한다면 이런 존재의 실제 형식은 소프트웨어에서 오는 것이다” 195p — Sungkyu Lee
디지털 퍼스트 관건은 사람이다
💡아래 글은 2014년 9월6일 '여기자'에 기고에 하기 위해 작성했던 교정 전 원고입니다. 이메일함을 정리하다 발견해서 2021년 4월17일에 여기에 업로드를 해둡니다. 당시의 바이라인도 그대로 표기해뒀습니다. 디지털 퍼스트의 정의와 역사디지털 퍼스트는 미디어 관계의 변화를 함축하는 표현이면서 동시에 우선 순위의 새로운 결정을 의미하는 트렌디 한 용어이다. ‘퍼스트’라는 단어는 무엇에 우선인가라는 맥락을 내포하고
Snowfall 할래요? immersive Storytelling 따라하기
Snowfall 할래요? immersive Storytelling 따라하기 from sungkyu Lee
컴퓨터 활용 보도의 역사
Computer Assisted Reporting. 일반적으로 CAR로 불리는 보도 방식의 역사는 1950년대로 거슬러간다. 아직 개인용 컴퓨터는 세상에 등장하지 않았던 시절이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미국의 군사 목적으로 개발돼 특수 목적용으로만 활용되던 시기였다. 컴퓨터 자체도 귀했지만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이 또한 희소하던 때였다. 1952년은 저널리즘과 컴퓨터가 사실상 처음으로 조우한 시점이다. 그해 미국은 대통령 선거로
[강연 자료] 인터넷 뉴스미디어의 현재와 미래
[강연] 인터넷 뉴스미디어의 현재와 미래 from sungkyu Lee
기술에 대한 우리의 편향된 관념들
‘인쇄 문화’ 연구의 역작으로 평가받는 ‘근대 유럽의 인쇄미디어 혁명’에서 아이젠슈타인은 인쇄술의 혁명이 르네상스, 종교개혁, 과학혁명, 심지어 민주주의의 원인이 됐다는 일반적 관념에 대해 방대한 자료를 근거로 이렇게 일축한다. “르네상스는 인쇄기가 발명되기 이전에 이탈리아에서 이미 시작됐고 종교개혁 당시에 인쇄술은 신교와 구교 모두가 사용할 수 있었으며, 과학혁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