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실적] 서치플랫폼, 전체 매출액 40%대로 하락
네이버의 2021년 3분기 실적이 10월21일 발표됐습니다. 네이버는 매 분기마다 새로운 이야기를 거리를 가져다 주고 있는데요. 그 중 몇 가지 포인트만 짚어보려고 합니다. 아직 카카오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 지표는 차후에 다시 정리해서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매출액 라인 분리 전인 2020년 1Q 수준에 근접 : 아시다시피 네이버는 2020년 3분기에 라인을
네이버 뉴스 '언론 숨기기' 기능, 사용자들은 어떻게 평가했을까?
언론사 숨기기와 같은 뉴스 사용자의 선택권 강화 방책이 과연 의도한 대로 저널리즘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낳을까
[설문조사] 네이버 뉴스 '언론사 숨기기' 기능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 기능이 실제로 저널리즘과 뉴스 수용자들에게 어떤 효과나 영향을 미칠지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유창한 글쓰기'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언론사 편집국이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영역들
하이퍼클로바의 성능 평가 목표는 '모델이 작성한 문장은 얼마나 유창한가'에 맞춰져 있었습니다.
[이슈설문 결과] 네이버 실검으로 언론사 수익 감소? 종사자 vs 비종사자 전망은 달랐다
2020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광고 시장이 다시금 살아났고 이를 바탕으로 언론사들의 수익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선방했거나 일부 감소한 정도로 평가가 되고 있습니다
Metered Paywall 적용하면 '페이지뷰'에 어떤 영향 미칠까
디지털 유료 구독하면 가장 먼저 생각하는 유료화 모델이 있죠. 계량형 유료장벽이라 일컬어지는 Metered Paywall입니다. Metered Paywall의 짧은 역사 : 2007년 FT의 도전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가 2007년 월 10건 무료를 기반으로 처음 도입한 페이월 모델입니다. 지금은 대다수의 디지털 유료화를 언급할 때 이 계량형 유료장벽을 먼저 떠올릴 만큼 보편화됐습니다. 뉴욕타임스의 성공 이면(2007년
포털의 구독 플랫폼 참여 제안, 받아야 할까 말아야 할까
포털의 잇단 디지털 유료 구독 플랫폼 제안 구독 경제의 문이 열리는 신호일까요? 도저히 작동하지 않을 것 같던 디지털 유료 구독이 국내 플랫폼들의 공격적인 제안으로 마중물 마침내 부어지는 순간을 맞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한성숙 대표가 직접 언론사를 위한 구독 론칭 프로젝트의 론칭을 알렸고요. 카카오는 이미 오래 전부터 언론사 등을 대상으로 한 구독
포털과 언론사는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
👨💻 구글은 왜 뉴스서비스를 하는가? 구글이 뉴스서비스를 운영하는 데 주요하게 가지고 있는 철학이 있는지? 구글은 퀄리티 저널리즘과 구글의 미션이 엮여 있다고 보고 있더군요. 순다 피차이도 같은 발언을 여러 차례 한 적이 있습니다. 구글은 사람들의 더 나은 삶을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지식과 정보를 누구에게나 접근가능하도록, 확산될 필요가 있다는 미션을 갖고 있는데요. 저널리즘의 미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