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의 페이월 모델은 ‘하드 페이월’이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여전히 많은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정확히는 다이내믹 페이월을 채택한 지가 제법 됐습니다. 저널이 어떤 고민 끝에 그들의 페이월 모델을 진화시켰는지 오늘 자세히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략 2015년의 일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의 모회사인 다우존스는 2명으로 구성된 최적화팀을 꾸립니다. 자사 언론의 구독 비즈니스, 특히 구독 전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이미 2013년부터 Cxense라는 데이터 관리 전문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차근차근 배워가던 와중이었죠. 그리고 2016년. 월스트리트저널도 이 Cxense라는 기업과 구독 관련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대략적인 목표도 정했던 모양입니다.

Cxense는 2010년에 탄생한 노르웨이 기술 기업입니다. 사용자 프로파일링에 특화된 데이터 기술 전문 기업이었죠. 2013년 다우존스와 파트너십을 맺을 때만 하더라도 비교적 초창기 기업에 불과했습니다. 창업자들은 FAST를 회사를 MS에 매각하고 나온 엔지니어들이었다고 합니다. 경험이나 기술력 측면에서 비교적 탄탄했던 듯합니다.

다우존스와 2013년에 시작된 두 회사의 인연은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월스트리트저널의 페이월 개선 작업에 착수하게 됩니다. 구독자의 빠른 성장을 기대했던 월스트리저널은 Cxense와 최적화팀의 지원을 받아 본격적으로 페이월 모델을 다듬기 시작하는데요. 그 핵심에 ‘개인화’가 포함돼 있었습니다. 이때부터 월스트리트저널의 페이월 모델은 ‘동적 페이월’(Dynamic Paywall)로 전환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