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레기 저널리즘' 시대는 언제쯤 끝이 날까?
저널리즘이 실리콘밸리의 변덕에 굴복한 것은 그만큼 튼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좀 더 관대하게 설명해보자면 이렇다. 저널리즘은 국가를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스스로 자부한다. 그것이 사실이고 기둥의 역할을 한다고 해도 저널리즘은 세운 지 오래되지 않은 기둥이기 때문에 땅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다. 미국의 신문들은 지난 250년 동안 존재했지만 저널리스트들이 당파적 편향성 없이 전문가적인 태도로
[그래프] 뉴욕타임스 항목별 매출 추이
[업데이트 : 2022년 5월5일] 2022년 1분기 매출 현황 통계 이번 분기부터 뉴욕타임스는 구독자수(Subscribers)와 구독수(Subscription)을 구분해서 공표하기로 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언급하는 1000만 돌파는 구독수를 의미합니다. 순구독자수 개념과 유사한 구독자수로는 아직 뉴욕타임스가 1000만 명에 미치진 못하고 있습니다. 이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업데이트 : 2021년 11월 9일] 2021년 3분기 매출
데이터 스튜디오 활용한 인터렉티브 대시보드 구성
데이터 스튜디오 바로가기 데이터 스튜디오 사용법 수업 바로가기
허위조작정보는 왜 확산되는가에 대한 통찰력 있는 논문들
인용 글 : Why is fake news so prevalent? Researchers offer some answers 첫번째 논문(Henkel, 2018) 스토리가 더 강력할 수 있다. 링컨대 헨켈은 사실의 정확성보다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를 선택하는 우리의 경향성이 우리를 거짓 주장이나 신화에 더 민감하도록 만든다고 주장한다.(Stories can be so powerful, in fact, that Imke Henkel from
뉴욕타임스 텍스트 에디터 ‘Oak’와 실시간 동시 편집
[2019년 12월18일]뉴욕타임스가 풀려고 했던 3가지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떻게 실시간 업데이트를 에디터에 통합시킬 것인가각 편집 버전의 충돌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깜빡깜빡하는 와이파이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에러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위 3가지는 실시간 협업 에디팅을 필요로 하는 언론사들에게 무척이나 골치아픈 문제거리입니다. 구글 닥스처럼 실시간 업데이트와 버전 히스토리를 지원하는 툴이 아니라면 해결하기가 쉽지
Paywall의 정의와 번역
여러분들은 Paywall을 어떻게 번역하고 어떻게 정의하시나요? 이런저런 논문을 찾아보면 Paywall을 정의할 때 Radoff의 블로그 글을 자주 인용하더군요. 그는 Paywall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a digital mechanism to separate content that one has to pay for from the rest of the content on the net”(넷 상에서 비용을 지불해야
1명 구독자냐 4만8천PV냐 : 왜 모든 저널리스트들은 그들 콘텐츠의 단위 경제학을 알아야 할까
아래 글은 니먼랩이 게시한 스토리 ‘One subscriber or 48,000 pageviews: Why every journalist should know the “unit economics” of their content’를 전문 번역한 것입니다. 니먼랩 측의 ‘간접적’인 동의와 요청을 일정 수준으로 받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 아직 직접적이고 공식적인 협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려드립니다.
'버즈피드 BM은 실패했는가'에 대한 조나 페레티의 답변
버즈피드 조나 페레티에게 무작정 메일을 보냈습니다. 생각이 궁금했습니다. 최근 일련의 감원 사태가 애초 구상했던 버즈피드 수익모델의 실패로 봐야 하는가를 물었습니다. 회복이 어렵다는 단정적 견해들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질문했습니다. 아마 불편했을 겁니다. 그에게 돌아온 답장은 딱 한 줄이었습니다. “We are making the changes we need to succeed for the l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