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가속주의와 21세기의 시작
2025년 우리는 마침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미국 4개 빅테크 기업은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을 AI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칩은 AI 추론(inference)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도 엔비디아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알리고 있습니다. 태양광은 미래의 지배적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준으로 여겨왔던 많은 틀과 프레임을 무너뜨리는
2025년 우리는 마침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미국 4개 빅테크 기업은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을 AI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칩은 AI 추론(inference)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도 엔비디아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알리고 있습니다. 태양광은 미래의 지배적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준으로 여겨왔던 많은 틀과 프레임을 무너뜨리는
새로운 세대의 인플루언서가 전 세계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들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컴퓨터에서 만들어지고, 수천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뒤에서 촬영한 흔들리는 여성, 야자수, 꿈의 해변, 청록색 바다. 낯익은 사진입니다. 그러나 여자도, 그네도, 야자수도, 꿈의 해변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사진은 컴퓨터에서
🏎️2021년 8월 20일,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의 AI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자율주행을 위한 AI에 특화된 슈퍼컴퓨터 ‘도조(Dojo)’를 개발하겠단 계획이었습니다. 그리고 테슬라는 올해 7월말부터 도조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내년까지 10억 달러 이상을 추가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테슬라의 도조 프로젝트는 최근 주식 시장에서 화제가 됐습니다. 모건스탠리가 “도조로 인해 테슬라의 기업가치가 5000억 달러 정도 올라갈
💡 빅테크의 금융업계 진출이 활발합니다. 애플은 애플페이를 통한 결제 서비스를 넘어서, 송금·투자·저축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은행의 역할을 넘보고 있습니다. 구글, 아마존 등 다른 글로벌 빅테크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내에선 네이버와 카카오의 핀테크화가 눈에 띕니다. 2022년, 네이버파이낸셜과 카카오페이 매출액은 각각 1조 2500억원과 52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빅테크 진출로 인해 금융업계엔 큰 파장이 일고
지난 7월 12일, IBM과 트루이스트 파이낸셜(Truist Financial)이 협업 계약을 맺었습니다. 계약 내용에 따르면 트루이스트 파이낸셜의 은행 업무와 IBM의 양자 컴퓨터가 활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AI,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금융 거래,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은행의 양자 컴퓨터 도입이라니, 독특해 보이지만 사실 그리 특별한 결정은 아닙니다. 이미
미국 앱스토어 및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 1위는 테무(Temu)입니다(similarweb, SeonsorTower). 한국의 경우 4위(앱스토어) 및 3위(구글 플레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similarweb). 쉬인(Shein) 돌풍에 이어 테무가 미국, 유럽 그리고 이제 한국까지 이커머스 시장에서 그 입지를 빠른 속도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애드 샌더(Ed Sander)의 분석에 따르면 동일
국내에선 카메라로 유명한 일본의 올림푸스의 2022년 실적은 놀라웠습니다. 매출액 8819억 엔, 영업이익 1866억 엔을 기록했는데요. 이를 4년 전인 2018년 실적과 비교하면 각각 11.1%와 559.4%(!)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의 증가율이 특히 대단했죠. 2022년 영업이익률은 약 21.2%였는데, 이는 일본 제조 기업 중 최고수준의 영업이익률입니다. 올림푸스의 매출(
할리우드가 파업으로 진통을 겪고 있죠. 미국 작가조합(WGA)과 배우·방송인조합(SAG-AFTRA)가 임금인상, 노동환경 개선 등을 요구하면서 총파업에 돌입했고, 그로 인해 할리우드 영화사, 방송사의 제작·홍보가 '올스탑'됐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 한 영화사는 배우, 작가들과 합의를 이끌어냈고 그 덕에 파업과 무관하게 작품 제작을 진행할 수 있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바로 A24라는
메타는 지난 주 거대언어모델의 새로운 버전 라마2(Llama2)를 공개했습니다. 학술 전용 오픈소스인 라마1가 달리 라마2는 상용 오픈소스 모델입니다. 상용 오픈소스라는 라이센스 방식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오픈AI 등 경쟁사의 해자(moat)를 약화시키는데 있습니다. 라마2를 활용한 다양한 AI 서비스는 무료 또는 매우 낮은 가격에 제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 라마2
혹자에 따르면 "트위터는 점차 망해가고 있다"고 합니다. 망하고 있는 지는 몰라도, 머스크와 트위터의 뜻대로 일이 풀리지 않아 보이긴 합니다. 이 상황에서 무척 이상하지만, 흥미로운 주장이 나오기도 합니다. '머스크가 트위터를 일부러 망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머스크는 세계 최고의 사업가이자 개발자이기 때문에, 그의 이상한 행보들이 모두 계산된 것이고 그 목적은 ‘인류에게 달린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가격 전쟁이 치열합니다. 가격전쟁은 당연히 제조업체 수익성에 해롭습니다.예를 들어 폭스바겐은 현재 중국에서 ID.3을 유럽에서 같은 차량에 부과하는 가격의 절반 정도인 17,500달러 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재정도 가격 전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매출 총 이익률, 다시말해 판매 수익에서 직접 제조 비용을 뺀 마진은 22년 1/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이 시중은행으로 전환을 준비 중이란 소식,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구은행은 ‘iM뱅크’로 이름을 완전 바꾸고 수도권 등 전국으로 영업을 확대할 거란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는 올해 초 논란이 됐던 시중은행 과점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전체 여론은 ‘굳이?’라는 반응이 살짝 더 많아 보입니다. 아무래도 수도권에서는 지방은행
스레드의 1차 성공에서 일러 머스크의 기여도는 작지 않습니다. 1. 트위터를 다양한 지점에서 망가트린 점 그리고 2. 저커버그에게 현피 제안 등 스레드에 대한 언론 및 대중의 관심도를 증폭시킨 점 등이 머스크의 기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타는 트위터의 약점을 노려 "빵과 버터를 차지하자"라고 외치며 스레드를 준비해 왔습니다(뉴욕타임스 보도). 인스타그램을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