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검색에서 뉴스 링크가 사라지는 그날
💡언론중재위원회가 발간하는 월간 웹진 '언론사람' 6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뉴스 없는 플랫폼에서 나아가 뉴스 없는 검색에 대한 전망을 이번호 주제로 삼았습니다. 2011년 에릭 슈미트의 검색 구상도 이 맥락에 힘을 보태고 있다는 얘기도 곁들였습니다. - 이성규 더코어 미디어 에디터그날이 예상보다 빨리 올 듯하다. 조금은 멀게 느껴졌던 그날은 생성 AI 경쟁 구도와 뉴스에
💡언론중재위원회가 발간하는 월간 웹진 '언론사람' 6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뉴스 없는 플랫폼에서 나아가 뉴스 없는 검색에 대한 전망을 이번호 주제로 삼았습니다. 2011년 에릭 슈미트의 검색 구상도 이 맥락에 힘을 보태고 있다는 얘기도 곁들였습니다. - 이성규 더코어 미디어 에디터그날이 예상보다 빨리 올 듯하다. 조금은 멀게 느껴졌던 그날은 생성 AI 경쟁 구도와 뉴스에
💡언론중재위원회가 발간하는 웹진 '언론사람' 2023년 1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소프트웨어 판매를 수익모델로 추가한 글로벌 언론사들이 주목을 받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 길이 새로운 미래라고 외쳤습니다. 저 또한 예외일 순 없습니다. 하지만 성과가 지지부진합니다. 더이상 CMS의 라이선스를 판매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언론사들도 나타났습니다. 공교롭게도 시기도 겹쳤네요. 실리콘밸리화하려는 언론사의 꿈은 정말 불가능한 것일까요? 간단한 원인을
뉴스와 이별을 고하려는 페이스북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지난 7월 19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1)를 보면, 가까운 시간 안에 페이스북이 언론사와의 뉴스 전재료 계약을 정리하고 여기서 아낀 다수의 자원을 크리에이터 경제에 쏟아부을 것으로 예상된다. 골치 아픈데다 ‘가성비’조차 나오지 않는 뉴스에 더 이상 돈을 퍼붓지 않겠다는 냉엄한 결단이 행간에서 읽힌다. 분기 매출액이
파격일까 혁신일까. ‘그렇게 될 것’이라 짐작만 해왔던 일이 실제로 벌어졌다. 미국 허스트의 대표적인 패션 잡지 코스모폴리탄은 AI가 제작한 이미지로 표지 전체를 덮었다.1) 바로 며칠 전 경제잡지 이코노미스트가 실험적으로 시도했던 사례2)를 한 단계 더 확장한 것이다. 표지의 일부만 장식했던 이코노미스트와 달리 코스모폴리탄은 아예 커버 전체를 AI 제작 이미지로
이번달 언론사람 기고문이 언론사람 웹진에 발행됐네요. 이 주제를 선택하게 된 건 논문 학술지 디지털저널리즘에 발행된 'Uneasy Bedfellows: AI in the News, Platform Companies and the Issue of Journalistic Autonomy' 이 논문 때문이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드린 적이 있습니다. 저자인 펠릭스 사이먼은 여기사 자주 다루는 로이터저널리즘(학)연구소의 연구원이기도 하고, 예전 컬럼비아저널리즘스쿨
4월초 뉴욕타임스의 편집인 딘 바케이가 기자들에게 한 가지 부탁을 했다. “트위터를 좀 적게, 신중하게 사용하고 기사를 쓰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쓰길 바란다”는 내용이었다. 계속 트위터를 사용할 거라면 트윗을 하거나 스크롤링하며 플랫폼에서 보내는 시간을 의미 있게 줄이는 것이 좋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곧 편집인 자리에서 내려오는 마당에 그가 이런
‘탈진실의 시대’, 언론이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주체는 누구여야 할까? 이 짧은 질문 안엔 수많은 행위자들과 제도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뒤엉켜 있다. 만약 그 해답이 정부라면, 해당 사회는 언론의 자유가 박탈된 공간일 확률이 높을 것이다. 정부가 언론 여부를 획정할 권리를 독점한 곳에 민주주의가 싹틀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만약 플랫폼이라면 또 어떨까. 기술권력에
이번달 '언론사람'에 기고한 칼럼의 주제는 '웹3와 저널리즘'입니다. 약간은 나간 논의일 수도 있습니다. 아직 논쟁이 한창인 개념이기에 섣부른 감도 있습니다. 웹3의 도래를 단정하기보다는 이러한 흐름이 가리키는 방향이 주는 함의에 집중을 해 봤습니다. 그 중 하나가 평판 경제이고 다른 한쪽이 소유 경제입니다. 이 글에선 주로 주목 경제에서 평판 경제로의 전환을 다뤘습니다. 하고자
그리스트(Grist)라는 기후변화 미디어는 우리에겐 낯선 이름이다. 온라인 뉴스레터로 창간한 지 20년이 훌쩍 지났음에도 그렇다. 기후변화에 대한 우리의 거리감만큼이나 그리스트에 대한 인지도도 낮은 셈이다. 지난 10월 15일 발표된 ‘온라인 저널리즘 어워드 2021’ 수상자 목록에 그리스트는 무려 네 번이나 언급됐다. 물론 12번이나 이름이 불린 뉴욕타임스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단일 분야를
에코 체임버(Echo Chamber, 반향실)가 인지 편향의 상징어로 등장한 건 대략 2000년대 초반이다. 미국 하버드대 캐스 선스타인 교수가 자신의 논문, 책 등 일련의 저작을 통해 이 개념을 소개하고 발전시킨 데서 출발했다. 그러나 에코 체임버의 이론적 단초는 1995년 니컬러스 네그로폰테의 ‘디지털이다’가 제공했다. 네그로폰테 교수는 당시 ‘더 데일리 미’(The
아래 글은 언론사람 4월호에 게재된 칼럼입니다. 뉴스를 소비하는 호흡을 코로나19 사태 기간만이라도 조금은 늦춰보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써봤습니다. 저는 요즘 주간지를 읽기 위해 조금 애를 쓰고 있습니다. 저 나름의 '소셜미디어 거리두기', '뉴스 거리두기' 실천 방식이라고 할까요?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는 물리적 거리 확보를 통한 사람의 안전 확보가 주된 목적이다. 간극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