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1천만', 네이버는 검색 시장 방어할 수 있을까
요즘 마케팅이나 PR 업계 분들을 만날 일들이 많은데요. 이 분들이 한결 같이 내뱉은 말이 있습니다. "네이버 요즘 위험해 보이지 않나요? 너무 뒤처지는 것 같아요."아마 공감하시는 분들도 많을 겁니다. ChatGPT와 구글 등 글로벌 AI 플랫폼의 공세가 더욱 강화하고 있음에도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잠잠해 보여서입니다. 네이버 내부적으로는 빠른 대응을 위해 상당한 투자를
요즘 마케팅이나 PR 업계 분들을 만날 일들이 많은데요. 이 분들이 한결 같이 내뱉은 말이 있습니다. "네이버 요즘 위험해 보이지 않나요? 너무 뒤처지는 것 같아요."아마 공감하시는 분들도 많을 겁니다. ChatGPT와 구글 등 글로벌 AI 플랫폼의 공세가 더욱 강화하고 있음에도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잠잠해 보여서입니다. 네이버 내부적으로는 빠른 대응을 위해 상당한 투자를
[인터뷰] 동아일보 CMS 자체 개발을 주도한 신석호 부국장, 이샘물 기자... 국내 언론사 주는 메시지와 교훈들
💡ChatGPT의 영향이 콘텐츠 플랫폼으로 옮겨붙고 있습니다. 알게 모르게 생성 AI를 이용해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콘텐츠 플랫폼의 고민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유료 구독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는 플랫폼들은 당장의 원칙 제정이 절실해진 상황입니다. 미디엄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미디엄에는 전세계 수많은 작가들이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며 구독 중심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데요.
💡버즈피드가 ChatGPT로 퀴즈 콘텐츠를 생산하고 개인화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죠. 그러자마자 주가가 폭등했습니다. 버즈피드의 CEO 조나 페레티는 앞으로 3년 동안은 크리에이터와 AI가 디지털 미디어를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ChatGPT 등 생성 AI 시대를 버즈피드가 어떻게 주도하며 이끌어갈 것인지 그의 메모가 비교적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이 메모를 통해 새로운 혁신의 아이디어를 많이 얻어 가시길
최근 자주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국내 독자들도 콘텐츠에 지불의사를 나타내는 건 인정하겠지만, 극단적인 정치지향성 혹은 편향된 콘텐츠에만 지불의사가 나타나는 것 같아요. 유튜브만 봐도 알 수 있잖아요. 이것이 저널리즘을 위해 바람직한 것일까요?이는 절대적으로 맞는 말입니다. 확증편향을 강화해주는 이념 동조화 기제를 자극하는 콘텐츠가 지불의사를 불러내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현대인이라면
💡이 글은 대형 신문사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아시다시피 지역신문사를 중심으로 인쇄신문에 대한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여러 원재료 값의 인상 등이 부담을 높이고 있는 중이죠. 전부는 아니더라도 주 2~3회 정도만 빈도를 줄이더라고 비용 절감은 어느 정도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이 경우 종이신문 충성독자의 이탈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망설여 질 수밖에
얼마전 작은 모임에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습니다. "당신이 지금 신문사 CEO라면 YTN 인수를 할 것 같은가?"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자금 여력을 전제로 비전과 리더십을 갖추고 있다면 안할 이유는 없을 듯하다." 사실 답변은 간명했지만, 이 답변을 판단하는 근거는 그리 간단하진 않습니다. 오늘은 이야기를 꺼내 볼까 합니다.
💡언론중재위원회가 발간하는 웹진 '언론사람' 2023년 1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소프트웨어 판매를 수익모델로 추가한 글로벌 언론사들이 주목을 받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 길이 새로운 미래라고 외쳤습니다. 저 또한 예외일 순 없습니다. 하지만 성과가 지지부진합니다. 더이상 CMS의 라이선스를 판매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언론사들도 나타났습니다. 공교롭게도 시기도 겹쳤네요. 실리콘밸리화하려는 언론사의 꿈은 정말 불가능한 것일까요? 간단한 원인을
💡올해도 어김없이 닉 뉴먼의 '저널리즘, 미디어 그리고 테크놀로지 트렌드와 예측' 보고서 공개됐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1월 10일이니 얼마되지 않았습니다. 일단 저의 생각이나 분석보다 이 보고서의 대략을 파악하는 게 우선일 테니 요약 버전만 먼저 번역해서 소개합니다. 📌 경영 전망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속에서 우리가 조사한 뉴스 리더들의 절반 미만만이 앞으로의 비즈니스 전망에 대해 자신감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위치한 샬럿은 주 안에서 가장 큰 도시에 속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도시 전체 인구가 약 88만 명에 달할 정도니까요. 우리나라로 따지면 경기도 성남시나 화성시와 비슷한 규모이지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기준으로는 큰 도시에 속합니다. 여기엔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의 본사가 위치해 있습니다. 그래서 금융 도시라고도 불립니다. BOA 본사가 원래 이곳에
일주일 전, 워싱턴포스트의 퍼블리싱 플랫폼 부문인 Arc XP를 매각한다는 소식이 터져나왔습니다. 꽤나 충격적인 소식이었죠. 워싱턴포스트 비즈니스의 3대 축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가 됐던 Arc XP가 최악의 경우 워싱턴포스트의 품 밖으로 내던져질 수 있다는 의미였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언론사들이 기술 기업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명제의 상징이기도 했었기에 언론 산업에 던지는 충격은 결코 작지
💡언론중재위원회가 발간하는 웹진 '언론사람' 2022년 12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ChatGPT가 촉발시키고 있는 합성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논의들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을 담고 있습니다. 일단 언론 산업은 합성미디어라는 개념에 조금더 익숙해 질 필요는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고요. 나아가 인공지능 협업 생산물과 저널리즘 투명성 문제도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 이성규 더코어 미디어 에디터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