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스카이, Next 트위터? (or 클럽하우스?)
💡최근 메타가 트위터와 경쟁할 새로운 소셜미디어(탈중앙화된 텍스트 기반 SNS)를 준비 중이란 소식이 나왔습니다. 이르면 올 여름에 출시될 예정으로 현재는 먼저 사용해볼 유명 셀럽들을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P92라는 코드 네임으로 개발 중이며 인스타그램과 같은 방식의 로그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앞서 트위터 대항마로 개발된 '블루 스카이'가 있는데, 베타 버전이
💡최근 메타가 트위터와 경쟁할 새로운 소셜미디어(탈중앙화된 텍스트 기반 SNS)를 준비 중이란 소식이 나왔습니다. 이르면 올 여름에 출시될 예정으로 현재는 먼저 사용해볼 유명 셀럽들을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P92라는 코드 네임으로 개발 중이며 인스타그램과 같은 방식의 로그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앞서 트위터 대항마로 개발된 '블루 스카이'가 있는데, 베타 버전이
💡최근 메타가 트위터와 경쟁할 새로운 소셜미디어(탈중앙화된 텍스트 기반 SNS)를 준비 중이란 소식이 나왔습니다. 이르면 올 여름에 출시될 예정으로 현재는 먼저 사용해볼 유명 셀럽들을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P92라는 코드 네임으로 개발 중이며 인스타그램과 같은 방식의 로그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앞서 트위터 대항마로 개발된 '블루 스카이'가 있는데, 베타 버전이
💡Key Point ①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이 주춤하는 사이 새로운 SNS 앱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② 대표적으로 Be Real과 Gas가 있습니다. 기존 SNS 앱들에 만연하던 허세와 비교라는 약점을 공략한 것입니다. ③ 새로운 SNS들도 약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바로 구시대적인 마케팅과 빈약한 수익 모델입니다.intro5년 전 메타(당시 페이스북)는 서비스를 시작한 지 2달밖에 안 된 앱을
쉽게 체감하시는 분은 많지 않겠지만, 인스타그램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The Atlantic에서 게시한 케이트 린제이(Kate Lindsay)의 분석글 제목은 'Instagram is Over'입니다. 무척 단정적이죠. 아울러 GenZ들이 요즘 즐겨쓰는 앱 가운데 BeReal과 Gas 등의 사례를 보면 인스타그램의 위기를 반증하기도 합니다. 'Gen Z와 소셜미디어'의 관점에서 2개의 글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KISDI 자료를 플러리시 위에 펼쳐봤습니다. 전체적인 추이를 확인해보기 위함이었는데요. 보시면 알겠지만, 대세 하락에 접어든 서비스가 반등에 성공한 케이스는 적어도 9년 안에는 없어 보입니다. 저는 "대세 하락"을 3년 동안 동일 추이를 나타내는 경향성으로 정의했습니다. 이 측면에서 보면, 1) 페이스북은 올해가 기점이 될 듯합니다. 올해 kisdi 조사에서 1순위 이용률이 29.
뉴미디어 뉴스/소셜미디어와 사회 2012/11/29 15:09 몽양부활 수다 문화의 정의와 특징 등에 대한 분석이 여전히 부족합니다. 이에 대한 자료가 있으면 공유를 부탁드립니다. 글도 그에 따라 업데이트해보도록 할게요. 관련 논문 박선희(2012)_SNS 뉴스 소통.pdf 1. 소셜네트워크와 여성 상위 시대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여성 상위’의 공간이다. 인터넷 등장기와
뉴미디어 뉴스/소셜미디어와 사회 2011/07/19 20:47 몽양부활 SNS 사용자 2008년 대비 두 배로 늘었다Pew 인터넷의 통계를 보면, 2010년 기준으로 미국 성인 인구의 79%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합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성인 가운데 59%, 전체 성인 중엔 47%가 적어도 1개 정도의 SNS를 이용하고 있다는군요. 성인 인구의
View of 몽양부활/혼자만의 아이디어 2008/10/15 12:01 몽양부활 제 글 '현직 기자들만의 정보 공유 SNS를 만들자'에 의견 주신 분께 우선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Reportingon.com이라는 사이트를 보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 갑작스레 떠올려본 아이디어입니다. 5년간의 기자생활 경험을 기반으로 내놓은 안이기도 하고요. 제가 이 아이디어를 소개한 이유는 다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