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의 메타버스: 역사상 가장 위험한 기업 투자 전략
22년 10월 11일 저커버그는 Meta Connect 행사를 통해 기업 메타가 그리는 메타버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세상에 선보였습니다. 메타는 특히 북미 및 유럽 언론 그리고 복수의 분석가에게 적극적으로 메타버스 비전을 설명했기에 다양한 관련 보도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글은 Meta Connect에서 공개된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메타가 경제 역사에서 가장 위험한 투자를 단행하고
구글 스타디아 실패에서 배울 점: 혁신이 횡포가 되는 순간
구글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스타디아를 23년 1월 18일 종료합니다. 이 소식을 The Core에서 분석해야할지 고민했습니다. 게임 산업은 Play to Earn 등 web3 분야를 제외하면 The Core가 다루는 주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스타디아 종료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분석하려고 할까요? 구글이 스타디아 이용자와 게임 개발 파트더를 대하는 태도와 방식에 문제가 있기
미드저니, 달-리 2, 스테이블 디퓨전: 가치 신호의 변화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 2(Dall-E 2),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은 텍스트를 이미지로 전환하는(text-to-image)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인공지능 콘텐츠 생성기(AI-Content-Generators)라 부를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 2(Dall-E 2),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이 어디까지 어떤 속도로 진화할 수 있을지, 이 기술이 어떤 분야에 어떤 가능성을
틱톡 금지 요구, 타당할까?
틱톡의 성장 속도가 무섭습니다. 지금까지 존재한 어떤 소셜 미디어 앱보다 빠른 성장 속도입니다. 틱톡 이용자 규모는 15억 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미국 10대의 경우 틱톡 이용률은 인스타그램과 스냅챗을 넘어 섰습니다. 다급해진 인스타그램은 틱톡의 숏폼뿐 아니라 틱톡의 피드 알고리즘을 적극 모방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숏폼 크리에이터와 광고 매출 공유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자의
메타의 매출 빼앗은 애플: 모바일 광고시장 재편의 시작
애플의 2026년 광고 매출 목표는 300억 달러입니다. 2016년 애플이 광고 비즈니스에 다시 뛰어든 이후 2021년의 광고매출은 40억 달러였습니다. 300억 달러면 현재 디지털 광고시장 3위 사업자 아마존을 바짝 뒤쫓는 수준입니다. 이 글은 애플이 이 목표를 어떻게 현실화하고 있는지와 애플과 구글이 모바일 광고시장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애플은 아이폰에서
[강정수의 포켓] 애플 비즈니스 전략과 Dall-E
디지털 경제를 공부하는 노하우를 공개한 글에서 밝힌 것처럼 읽을 거리, 참조 글 등의 최종 집결지는 포켓(pocket)이라는 서비스입니다. 포켓에 한 주 동안 저장한 글 중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는 글을 묶어서 소개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 및 디지털 비즈니스에서 주요 이슈가 무엇인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애플: 서비스 기업인가 Product 기업인가
인스타그램이 리포스트 기능을 도입하는 이유
테크크런치는 22년 9월 4일 보도를 통해 인스타그램이 리포스트(Repost) 기능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도했습니다. 인스타그램이 지금까지 제공하는 있는 공유 기능은 (1) 스토리(특정 포스트를 자신의 "스토리에 게시물 추가") 및 (2) DM (특정 포스트를 친구에게 DM으로 보내기)에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리포스트는 트위터의 리트윗(Retweet)과 동일하게 팔로워의 피드에 공유하는 형식입니다.
테슬라 및 현기차 시장 지배력 분석
2022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는 2035년부터 사실상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는 시행령을 확정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중간 단계 목표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6년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율은 35%, 2030년 그 비중은 68%로 단계적으로 상승합니다. 2021년 기준 캘리포니아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율은 16%입니다. 참고로 미국 전체로 볼 때 2021년 EV 신차
A.I. 미디어 (2):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의 틱톡화와 메타버스 전략의 충돌
소셜 미디어가 새로운 진화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틱톡이 변화의 시발점입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이 숏폼 동영상을 넘어 이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법을 틱톡 방식으로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사진/이미지, 일반 포스트 등 모든 콘텐츠 형식에 소셜 그래프와 아무 상관없는 A.I. 추천 방식이 도입됩니다. 영상은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매개 변수(parameters)
A.I. 미디어 (1): 힘을 잃어가는 퍼포먼스 마케팅
소셜 그래프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친구 기반, 팔로잉 기반, 구독 기반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던 패턴에서 A.I.가 추천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으로 소셜 미디어의 소비 구조가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시발점은 틱톡이었습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이 A.I. 추천 피드의 비중을 30%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소셜 그래프에 기반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뉴스)피드가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