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graphic] 영화 박스오피스 Top 50/ 한국 영화 & 코로나 충격파
[최근 30년간 전 세계 영화 박스 오피스 블록버스터 Top 50]1. 아바타-어벤저스(엔드게임)-타이타닉-스타워즈-어벤저스(인피니티 워) 순. 2. Top 50개 가운데 26개가 디즈니 영화. 유니버설과 워너가 8개씩. 3.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1998년 타이타닉으로 처음 10억달러 뚫었고, 2009년 아바타를 통해 누적 28억달러로 1위를 고수중. 4. 유명 IP의 시리즈물의 비중이 크게 나타남.
[Post 코로나] #1 '고양이 철학자'의 통찰 - "코로나는 역사적 전환점"
팬데믹의 거친 파도가 여전히 두려운 상황이지만, 그래도 다들 [코로나 이후]를 궁금해하고 이런저런 전망들도 나옵니다. 오늘은 존 그레이(John Gray, 73)라는 분의 통찰이 담긴 글에서 눈을 넓혀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메모합니다. 존 그레이는 영국 런던정경대 교수를 지낸 정치철학자이며 현재 'New Statesman' 기고가로 활동중입니다. '고양이 철학자'라고 칭한 이유는 이 분이 30여년
유튜브 알고리듬에 대한 비판적 연구 ('Youtube Regrets' by Mozilla)
"알 수 없는 유튜브 알고리듬이 나를 이 영상으로 이끌어 왔어요" 유튜브 영상 가운데 바이럴 잘 되는 경우 댓글란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되는 문구입니다. 최근 브레이브걸스의 '롤린' 역주행의 경우도 유튜브에서 '추천'을 통해 접하게 된 사람이 많았죠. 그런데 때론 재밌고 유익한 영상이 바이럴되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유튜브 추천영상들이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경우, 극단적 경향성을
요즘 웹드라마, 어떤 게 있나 살펴보니...
웹드라마 '좋좋소'가 최근 26화를 끝으로 종영됐습니다. 처음 듣는 분도 계실 듯 싶네요. 제목은 '좋소 좋소 좋소기업'의 줄임말이고 영세한 중소기업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잘 담아내고 있어서, 유튜브에서 '미생'보다 더 리얼하다는 평과 함께 큰 인기몰이를 했던 작품입니다. 이와 함께 요즘 웹드라마는 어떤 것들이 연재중이고 인기를 얻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앞서 언급한대로 웹드라마 '좋좋소'는
'한국 디지털 스튜디오 현황'을 검색해보니...(자료실)
네. 제목처럼, 구글과 네이버에서 '디지털 스튜디오 현황'을 검색해 봤어요.(검색결과는 하단 이미지 참조) 두 검색엔진 모두 [뉴미디어 창작생태계의 핵심, 디지털 콘텐츠 스튜디오]라는 제목의 글 링크를 첫 결과값으로 내놓았더군요. 반갑게 클릭했는데... 어? 많이 본 이미지 같다 싶더니.. 작년에 제가 외부 잡지에 기고한 글이더군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민간재단, 국제문화교류 진흥 전담기관, 글로벌
'돌고래유괴단'과 '바이럴' 탐구
소셜미디어에서 가끔 '바이럴(Viral)'되는 영상을 접하면서, '아, 돌고래유괴단이 만든 건가?'라고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이 글에선, 돌고래유괴단 사례를 통해 '바이럴 영상'에 대해 한번 짚어보려 합니다. 돌고래유괴단, 소위 말하는 '병맛' 내지 '비틀기'가 강점인 영상집단이자 디지털 스튜디오입니다.(Youtube 채널 링크) 아마, 이 글 읽는 분 상당수는 이미 아실 듯 하고, 처음
[Update] 스트리밍 전쟁 - 넷플릭스 주춤? HBO Max와 디즈니진영의 약진
스트리밍 전쟁, 계속 격전인 듯 합니다. 요즘 현황이 어떤지 살펴봤습니다. 올 4월에 Ampere Analysis가 내놓은 리포트를 토대로한 보도가 많네요. 1. 'Netflix의 미국 시장 점유율 하락' - 2020년초 유료 VOD시장 점유율이 29%였는데 올 상반기 20%선으로 하락. 3분의 1 가량이 떨어진 셈이네요. 2. 'HBO Max의 약진' - HBO Max가 3%
'강남스타일'이 다시 화제? + Global 조회수 Top 10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미국에서 다시 화제라고 기사가 났습니다! Here’s why Redditors are flooding the YouTube video for ‘Gangnam Style’ with meme stock commentsMashable is a global, multi-platform media and entertainment company. Powered by its own proprietary technology, Mashable is the go-to source for tech, digital culture and entertainment content for
KBS 수신료 이슈
(오늘 글은 KBS 수신료에 대한 내용인데, 제가 이사회 구성원으로 활동중이다보니 불가피하게 직접적인 당사자의 입장에서 글을 썼습니다. 감안해서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6월 30일, 상반기 마지막날 KBS 이사회는 '수신료 조정안'을 의결했습니다. 기존 2,500원에서 3,800원으로 1,300원 올리는 안 입니다. KBS 이사회 ‘수신료 1300원 인상안’ 의결현행 월 2500원에서 3800원으로 방통위·국회 통과
애플의 '재택근무' 갈등 & 대안적 움직임
하반기 백신 접종 확대되면 사무실 복귀를 고민하는 기업이 늘어날 텐데요. 지난주 씨로켓에서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글을 통해 앞으로 직장이 가질 수 있는 5가지 모델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의 직장’ 5가지 모델(HBR)코로나 시절을 겪으면서 재택근무가 많이 늘어났지요. 다들 처음에 걱정이 많았는데, 의외로 재택근무를 해도 업무 생산성에 큰 차질이 없는 걸로나타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