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예속, 다음은 챗GPT다
처음은 뜨거웠다. 모두가 열광했다. 잊고 있는 이들을 만나게 했고, 연결될 수 없었던 사람과 이어질 수 있었다. 관계는 좁아졌고, 세계는 가까워졌다. 소셜네트워크라는 기술은 인간의 외로움을 그렇게 타고 올랐다. 모든 기술 사업이 그렇듯, 성장이 확인되면 사용자를 묶어 떠나지 않게 하는 ‘록인’ 전략이 자연스럽게 뒤따른다. 그래야 돈을 벌고 통제할 수 있다. 록인은 사회학적으로는
3월 마지막주 뉴스 산업 글로벌 트렌드
3월29일✅ 한때 언론인들은 폭스를 뉴스 매체로 옹호했습니다. 그땐 그랬습니다. "이제 우리가 아는 것은 폭스 뉴스가 진정한 의미의 뉴스 조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최고 경영진과 고액 연봉을 받는 황금 시간대 진행자부터 객관적인 뉴스 앵커까지, 도미니언 소송은 이 네트워크가 뉴스를 가장한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라는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3월30일✅ Mather 미디어 수익 심포지엄 2023의 3가지 시사
디애틀랜틱 CEO "구글, 채팅 아키텍처로 전환할 수도"
💡니콜라스 톰슨(Nicholas Thompson) 디애틀랜틱(The Atlantic) CEO. 이 이름이 낯설다면 Wired 전 편집장이라면 어떨까요? 기억이 날 듯 말 듯하나요? 대표적인 테크놀로지 칼럼니스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가 디애틀랜틱 CEO로 넘어간 게 2021년입니다. 기술 전문성에 걸맞는 변화와 혁신의 DNA를 현재 디애틀랜틱에 심어놓고 있죠. 그는 링크드인에서 여러 실험들을 매번 수행합니다. CEO임에도 말이죠.
[논문 번역] GPT-4가 인공일반지능이 되기 위한 8가지 선결 조건
💡GPT-4는 대략 인공일반지능(AGI)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할 수 있을까요? 어느 정도 능력이면 AGI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사실 인간의 지능에 버금가는 인공지능이 탄생했다는 걸 정량적으로 측정한다는 건 상당히 어렵습니다. 지능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도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죠. 이 논문(혹은 백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것도 GPT-4를 대상으로 말이죠.
'0'년차 뉴스 스타트업, 4년차 Grid News 삼킨 배경과 이유
더 메신저의 그리드 뉴스 인수가 국내 미디어 스타트업 산업에 던지는 메시지 2가지... 뉴스 스타트업 투자자 성격도 고려해야
[기고] 뉴스 없는 플랫폼, 그 상상이 필요한 시점
💡언론사람 3월호 기고글의 주제는 '뉴스 없는 플랫폼에 대한 상상'이었습니다. 뉴스에 대한 보상 요구가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법률을 통해서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빅테크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비용을 지불하는 접근법을 우회하기 위해 여러 수단을 동원하고 있죠. 이미 일부 지역에선 뉴스 자체에 대한 접근을 막는 시도도 있었습니다. 한 가지 더 염두에 둬야할 흐름도 있습니다.
[번역] 생성 AI는 기자 업무와 책임 어떻게 바꿀까
💡닉 디아코풀러스 노스웨스턴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특별합니다. 컴퓨터과학으로 박사를 받고 저널리즘 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합니다. 그의 저서 'Automating the News'는 그이기에 쓸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과학자가 저널리즘을? 그래서 그의 연구 대부분은 뉴스와 관련한 알고리즘과 AI에 대한 것들입니다. 현재까진 특이한 이력을 지닌 분입니다. 그가 안식년을 맞아서 '뉴스룸 내 AI'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니즈모델' 2.0로 구독자 늘리는 콘텐츠 전략 짜기
언론사 내 디지털 팀을 맡게 되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주제가 '어떻게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가'입니다. 일단 두루두루 제작해서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이를 통해서 기대하는 만큼의 목표에 도달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입니다. 기왕이면 빠르게 성과에 도달할 수 있는 콘텐츠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밖에 없죠. 막막합니다. 콘텐츠
[기고] 다시 위기에 빠진 워싱턴포스트, 왜?
💡워싱턴포스트가 다시 위기에 빠졌다는 평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 신호들도 많습니다. 중요한 인력이 이탈했고, 몇몇 발간물들이 문을 닫았습니다. 경영진과 기자들 간의 갈등도 적지 않습니다. 성과는 지지부진 합니다. 그 원인을 진단해 보는 글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하는 신문과방송 3월호에 기고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국내 언론사들도 배울 교훈들이 있다고 생각을 했답니다. 조금 길지만 천천히 읽어
주요 항목별 생성 AI 기업 및 서비스 목록
한두 주 전 트위터 피드를 달궜던 흥미로운 이미지 한 건이 있었습니다. 현재까지 출시된 생성 AI의 유형별 목록입니다. 다수가 Open AI의 생성 모델만 기억하고 계시겠지만 다른 선택지들도 많이 있다는 걸 알리는 차원 같았습니다. 블로거 @EtherSiim이 올린 이미지였는데요. 늘 그렇듯, 이미지보다는 택스트로 카피하는 게 가장 편해 보여서 제가 하나하나 일일이 이름을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