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기자와 언론사를 위한 생성AI 활용 방안
💡현재는 20204년 8월29일 버전입니다. 추후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한번 구매하시면 업데이트 버전도 무료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생성 AI를 우리 뉴스룸에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생성 AI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잘 못하는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어떤 도구를 써야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지도 선택하기 쉽지 않을
💡현재는 20204년 8월29일 버전입니다. 추후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한번 구매하시면 업데이트 버전도 무료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생성 AI를 우리 뉴스룸에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생성 AI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잘 못하는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어떤 도구를 써야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지도 선택하기 쉽지 않을
메러디스 코핏 레비엔 뉴욕타임스 CEO의 콘퍼런스콜 발언을 번역하고 정리했습니다. 2021년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입니다. 이후 IR이 진행되면 업데이트 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 구매자분들은 다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됩니다.
[에디터 주] 닉 디아코풀러스 교수의 최근 글,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Journalistic Labor'를 번역했습니다. 더코어 독자분들 가운데 미디어 산업 종사자분들은 많이 궁금해 하실 것 같았습니다. 관련 링크들도 넣어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최근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ChatGPT와 같은 최신 대형 언어 모델(LLM)을 사용하면 수백 개의 직업에서 평균
AI 검색 시대가 가까이 왔습니다. 퍼플렉시티가 신호탄을 쏘아올렸고, 구글이 AI Overview로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네이버대로 AI 검색 'CUE:'을 모바일 버전에 적용하기 위해 한창 분주합니다.
💡현재는 20204년 8월29일 버전입니다. 추후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한번 구매하시면 업데이트 버전도 무료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생성 AI를 우리 뉴스룸에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생성 AI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잘 못하는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어떤 도구를 써야 우리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지도 선택하기 쉽지 않을
메러디스 코핏 레비엔 뉴욕타임스 CEO의 콘퍼런스콜 발언을 번역하고 정리했습니다. 2021년 2분기부터 2024년 2분기까지입니다. 이후 IR이 진행되면 업데이트 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 구매자분들은 다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됩니다.
[에디터 주] 닉 디아코풀러스 교수의 최근 글,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Journalistic Labor'를 번역했습니다. 더코어 독자분들 가운데 미디어 산업 종사자분들은 많이 궁금해 하실 것 같았습니다. 관련 링크들도 넣어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최근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ChatGPT와 같은 최신 대형 언어 모델(LLM)을 사용하면 수백 개의 직업에서 평균
문체변경 AI 오웰 프로 이상 상품에 가입하시면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무료 다운로드 절차.
저널리즘과 생성 AI: 생성 정보 생태계에서 뉴스 직무 진화와 윤리아래 보고서의 전문을 번역하기에 앞서 내용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뉴스 직무의 미래'만 우선 마무리했습니다. 나머지 부분도 번역해서 업데이트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뉴스룸의 생성 AI 활용 보편화하기 시작하면서 적절한 내부 가이던스를 요청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가 공표한 AI 활용 윤리 가이드라인이 있긴 하지만 이를 개별 뉴스룸이 하나의 지침으로 삼기에는 여러 모로 한계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늘어나고 있는 다양한 툴들을 고려할 때 활용 범위와 도구의 구체성을 명시하기에는 부족한 측면도 있습니다 여기에 첨부된
디지털 저널리즘을 위한 토우 센터가 묵직한 보고서 한 건(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News: How AI Retools, Rationalizes, and Reshapes Journalism and the Public Arena)을 내놓았습니다. 작성자는 펠릭스 사이먼 옥스퍼드 인터넷연구소(OII) 연구원입니다. OII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펠릭스 사이먼은 컬럼비아대 디지털 저널리즘을 위한 토우 센터의 나이트 뉴스 혁신 펠로우로
언제쯤 번역되나 기다리셨던 것으로 압니다. 뉴욕타임스가 지난 2023년 12월 27일,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를 저작권 침해로 고소했죠. OpenAI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AI 플랫폼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첫번째 사례였습니다. 소송이 제기되길 기다려온 주체는 국내 언론사뿐만은 아닐 겁니다. 해외 유수의 언론사들도 이 소송이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었을 겁니다. 그리고 그 소장을 검토해 보조를 맞춰나갈 구상도
가급적 한 달에 한 편 정도는 논문을 번역해서 소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옥스퍼드 인터넷 연구소 펠릭스 사이먼이 2023년 11월 발표한 논문 'Escape Me If You Can: How AI Reshapes News Organisations’ Dependency on Platform Companies'를 번역했습니다. 기술 플랫폼에 의한 '인프라스트럭처 포획'을 개념을 활용하여, 생성 AI가 앞으로 종속의 유형을 어떻게 재편하게
내용은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아래는 블루닷AI-오웰(AI 문체 변경 도구)이 니먼랩의 기사를 설명문체로 요약한 것입니다. 이 판결이 국내 언론사에 주는 시사점은 별도로 더코어에서 정리를 할 계획입니다. 첨부된 파일은 판결문 전문 번역문입니다. 이 번역문을 맥락을 이해하도록 도와드리기 위해 니먼랩 기사를 인용했음을 밝힙니다. AI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는 실시간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생성 AI의 학습 데이터가 공정이용에 해당하는가 아닌가를 놓고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서 있는 위치에 따라 저마다 다른 해석을 내놓고도 있습니다. 서로가 자신의 논리가 더 탄탄하다며 다양한 근거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판례가 만들어지지 않는 한 이러한 논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외 언론사를 중심으로 이러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도 상황은
얼마 전 학술대회 발표 제안을 받았습니다. '생성 AI가 뉴스 산업에 미칠 영향과 전망'이라는 주제였습니다. 학계 안에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더 듣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한번은 정리를 해볼 필요가 있겠다 싶어서 수락을 했습니다. 준비하는 작업은 그리 만만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뉴스 산업의 실존적 위기를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프레임으로 분석해야 할지 고민스러웠습니다. 어설프지만 이론적 틀을
9월 21일(목)이 개최됐던 더코어 살롱의 발표 자료를 공유합니다. 강정수 더코어 비즈니스 에디터 : 거대언어모델과 저작권이성규 더코어 미디어 에디터 : AI 저작권 방어 논리 : OPENAI vs NMA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저작권과 AI
생성 AI 모델의 학습 데이터 저작권을 둘러싼 논란으로 전세계적가 뜨겁습니다. 특히 언론사들은 자신들의 뉴스 콘텐츠가 허락없이 학습 데이터로 활용된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지금은 불쾌감을 넘어 소송으로 번지는 형국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이슈는 미국에서 먼저 불거졌습니다. 거대언어모델을 빠르게 개발하고 학습시켜 상업화한 기술 기업들이 대부분 미국 내에 존재해서입니다. 오픈AI나 구글이 대표적입니다.
누구에게 유익한가뉴스레터를 오래 운영해 오고 있지만 수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언론사 담당자오픈율, 구독자수를 제외하고 의미있는 뉴스레터 성공 지표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담당자타깃 수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뉴스레터 포맷을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고민에 빠져있는 언론사 담당자유료구독과 뉴스레터를 어떻게 리포지션을 할 때 구독 수익이 오르는지 방법을 찾고 싶은 언론사 담당자목차뉴스레터를 시작하기에 앞서뉴스레터
시사에 대한 뉴스 보도는 주로 부정적입니다. 이러한 경향에 대한 미국의 설명은 저널리즘 관행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전 세계의 부정적인 뉴스 콘텐츠를 쉽게 설명할 수 없습니다. 뉴스의 부정성은 부정적인 뉴스 콘텐츠에 더 주의를 기울이는 인간 성향의 산물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경향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을까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첨부된 보고서는 minna와 FT strategies가 '구독경제 : 비즈니스의 바로미터'라는 제목으로 펴낸 것입니다. 유료 구독자 분들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도 비공개로 올려두었습니다.(참고로 공개된 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독경제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구독 경제 : 트렌드' 보고서는 여기서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습니다. 시장 전망: 비즈니스
생성 AI를 뉴스룸의 워크플로우에 도입하는 언론사들이 제법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확산 속도는 현기증이 날 정도입니다. 기사 생산 영역을 비롯해서 제목, 요약, 이미지 생성, 인터뷰 질문 생성, 개념 설명 등 활용 범위도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생성 AI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주체 중 하나라고 언급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생성 AI가 저널리즘
챗GPT 등 생성 AI의 등장으로 검색 엔진과 서비스의 UI/UX가 요동칠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미 구글은 Search Generation Experience라는 이름으로 생성 AI를 결합한 서비스를 일부에서 출시를 한 상태입니다. 검색 서비스의 변화는 당장 언론사로 유입되는 트래픽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그 흐름을 미리 파악하고 예견해 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입니다.
챗GPT가 뉴스 산업에 그리고 저널리즘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물론 지금 시점에서 전망하고 예측한다는 게 그리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매일매일 변화하는 속도가 워낙 빠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전망 가능한 부분들은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을 했습니다. 이 자료는 현직 언론인 단체와 대학 강연을 위해서
GPT 등 생성 AI가 언론사 기사 표절한다면?지난글에는 ChatGPT와 같은 생성 AI가 뉴스를 학습데이터로 사용했을 때 저작권 침해 여부를 다뤘습니다. 대략의 결론은 ‘공정 이용’(fair use) 범위에 포함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었죠. 하지만 유료장벽 즉 페이월 뒤에 감춘 뉴스 콘텐츠를 허락없이 기계학습 용으로 사용할 경우 여러 측면에서 보상의 여지들이 존재한다는 걸
생성AI 학습에 대량의 뉴스 데이터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쟁점은 공정이용(Fair Use)에 해당하는가 아닌가 입니다. 다만 이는 법원의 판단을 받아야 하는 장기적인 과제가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해외 유력 언론사들은 보상을 받기 위한 법률적 제스처를 취하고 있습니다. 어떤 쟁점을 중심으로 어떤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국내
최신 디지털 뉴스 미디어 트렌드를 3가지 관점에서 정리를 했습니다. 더코어에서는 주기적으로 디지털 뉴스 미디어 트렌드를 종합하고 있습니다. 바쁜 와중에 트렌드를 관찰하거나 학습하지 못하고 있는 분들에게 드리는 일종의 트렌드 요약 보고서라고 보시면 될 겁니다. 늘 트렌드를 3가지 층위에서 바라봅니다. 이를 확장할지 아닐지는 조금더 검토해 보려고 합니다. 미디어 테크놀로지미디어 비즈니스 저널리즘인사이트를 드리는
저널리스트가 영향을 받는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저널리즘, 테크놀로지, 비즈니스입니다. 현직에 있는 기자들이 이를 부인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3개 요소로부터 자유롭기는 쉽지 않습니다. 한국 현실에선 더 그렇죠. 하지만 3가지 요소의 최신 흐름은 새로운 기회를 저널리스트들에게 제공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뉴스 산업은 그렇게 암울하지 않다고 저는 감히 말하는 편입니다. 이 발표 자료는 3가지 흐름의
더코어(이전의 미디어고토사)는 유료 구독 전략에 대한 다양한 사례와 전략을 다뤄왔습니다. 하지만 내용들이 분산돼 있다 보니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모아달라는 요청을 적잖이 받았습니다. 아래는 그간 썼던 글 가운데 유료 전략과 관련한 챕터들을 묶은 것입니다.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유료 구독 모델에 도전하려는 국내 언론사들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미 중앙일보가 중앙일보
2012년부터 2020년까지 8년간 NYT의 CEO로 재직하며 디지털 전환의 성과를 일궈낸, 마크 톰슨을 맥킨지에서 사흘간 인터뷰하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총 15page) 👉 맥킨지의 원문 : 'Building a digital New York Times: CEO Mark Thompson' 씨로켓과 미디어고토사 멤버들의 스터디를 위해 번역했습니다. (문의 kdkim@mediasphere.kr, mediagotosa@mediasphere.kr)
2022년 6월 모 대학 미디어학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했던 자료입니다. 디지털 저널리즘 과목이었고요. 강의 전에 수강생들로부터 질문을 받았습니다. 저널리즘, 레거시 미디어와 포털의 관계, 미디어 스타트업, 미디어스피어의 비즈니스 모델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수십 건의 질문이 제가 도착을 했었답니다. 모든 질문에 답할 수가 없어서, 그간의 자료, 신규 자료 및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재정리를
<필자소개> 임성희 (montang2@gmail.com) 지난 20년 미디어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현장에서 OTT 서비스, K POP 팬플랫폼, 콘텐츠 마케팅 등을 하면서 빡세게 굴렀다. 참여한 주요 프로젝트들을 보면, SK텔레콤에서 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 기술을 기존 미디어 콘텐츠와 결합해 혁신적 콘텐츠를 만드는 일을 했다. 이전에는 아이리버(現 드림어스 컴퍼니)에서 HiFi 디지털
씨로켓과 미디어고토사 멤버들의 스터디를 위해 번역한 문서입니다. (문의 contact@neocap.co.kr, mediagotosa@mediasphere.kr) 👉 맥킨지의 원문 : 'Building a digital New York Times: CEO Mark Thompson'
개인적으로, 기자들이 저널리즘과 민주주의를 도식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뉴스가 혹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의 보루이며 나아가 민주주의 고양하는데 필수적 요소라고 인식하기 쉬운데, 이를 입증할 만한 조건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계적으로 등식화하는 건 착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제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방식에 대해 썼던 글을 모아서 편집을 해봤습니다. 그리 길지는 않은
올 2월 미디어고토사 '런치스터디'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알고리즘의 다양성이 실제로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탐색해 보는 논문을 요약하고 관련 내용을 소개한 자료입니다. 어떤 방식과 목표로 설계됐느냐에 따라 알고리즘은 다른 효과를 내기 마련입니다. 알고리즘 방식을 완전히 걷어내야 한다 같은 극단적인 논의와는 별개로 알고리즘을 어떻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설계하느냐도 무척이나 중요한
탈포털이 국내 언론 산업 안에서 어젠다가 되었다가 조금은 시들해지는 형국입니다. 그것이 가져 올 위험, 대처방안의 세부 전략 부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마련한 행사였고, 그와 관련해 작성한 발표자료입니다. 아래 한 장의 슬라이드를 위해서 다양한 사례들과 프레임워크가 동원이 됐습니다. 왜 이러한 절차가 필요하고 실제로 그 절차로 유익을 얻은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러 언론사들이 신규 미디어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전통적인 워터폴 방식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실패로 이어지면 신규 프로젝트 실험 자체가 차단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신규 미디어 프로젝트 특히 버티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진행할 때 접근법을 달리해야만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저널리즘 프로젝트에서 왜 프로덕트 씽킹이 중요한지는 이 문서에 포함된 아래 슬라이드를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요?유료 구독을 검토 중인 언론사 전략 담당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을 결정한다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장기 전략을 필요로 하는지, 성과 지표 체계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어떤 기반 기술이 필요한지 등 고려할 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짚어야 할 점들을 하나하나 설명을 해두었습니다. 어떤
내용의 구성 구글에서의 경험과 협업 취재 및 편집 사내 커뮤니케이션 OCS와 협업 문화
모두 30페이지로 구성된 자료입니다. 다양성 기반의 뉴스 추천 알고리즘이 민주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논문 요약, 분석, 인사이트 등을 통해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읽을 만한 논문도 첨부해 두었습니다.
뉴스레터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고민하는 언론사/기관들이 많을 겁니다. 목록을 늘리는 방법부터 다양한 접근법을 담은 자료를 찾기란 쉽지 않을 겁니다. 아래 문서는 실제 언론사와 콘텐츠 기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팁을 중심으로 제작됐습니다. 이 문서를 구매한 분들에겐 별도의 Q&A도 제공해 드릴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