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한 구글 지도, ‘여행 가이드’ 될까
[1] 구글 지도, AI 도입으로 ‘여행 가이드’ 될까💡구글이 자사의 지도 서비스에 AI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제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 ‘제미나이(Gemini)’가 답변을 큐레이션하여 구글 지도에서 여행과 활동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동 중에 실시간으로 주변 명소 정보를 확인하는 등 맞춤형 가이드 기능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AI가 큐레이션한 맞춤형 여행
[1] 구글 지도, AI 도입으로 ‘여행 가이드’ 될까💡구글이 자사의 지도 서비스에 AI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제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 ‘제미나이(Gemini)’가 답변을 큐레이션하여 구글 지도에서 여행과 활동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동 중에 실시간으로 주변 명소 정보를 확인하는 등 맞춤형 가이드 기능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AI가 큐레이션한 맞춤형 여행
5월10일 구글 I/O를 통해 구글 검색의 꼴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셨을 겁니다. 지난 2월27일 네이버 개발자 행사인 Deview에서 네이버의 검색 방식 또한 크게 변화할 것이라는 걸 눈으로 보셨을 겁니다. 현재까지 우리가 봐 왔던 검색 방식은 생성 AI와의 결합으로 전혀 다른 모습으로 태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마 올해 하반기면 아래에 소개하는
지난글에는 ChatGPT와 같은 생성 AI가 뉴스를 학습데이터로 사용했을 때 저작권 침해 여부를 다뤘습니다. 대략의 결론은 '공정 이용'(fair use) 범위에 포함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었죠. 하지만 유료장벽 즉 페이월 뒤에 감춘 뉴스 콘텐츠를 허락없이 기계학습 용으로 사용할 경우 여러 측면에서 보상의 여지들이 존재한다는 걸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생성 AI가 제작한
📌 에디터의 노트 : 니콜라스 알렉산더 디아코풀로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커뮤니케이션연구 & 컴퓨터과학부)는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을 언급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연구자입니다. 최근에는 '뉴스 자동화하기 : 어떻게 알고리즘은 미디어를 다시 쓰고 있는가'라는 저서를 펴내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현재 그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IVIR에서 안식년을 보내고 있는데요. 이 와중에 'Generative AI In the Newsroom'이라는
언론사가 개발한 첫번째 거대언어모델(LLM), 블룸버그GPT. 이것의 등장은 사실 충격에 가까웠습니다. '언론사도 거대언어모델 경쟁에 뛰어들 수 있는 건가?'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 셈이어서입니다. 자체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기에 언론사들은 기 구축된 언어모델을 변형, 응용 하는 수준에서 도입 검토를 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블룸버그GPT의 등장은 언론사들도 이
처음은 뜨거웠다. 모두가 열광했다. 잊고 있는 이들을 만나게 했고, 연결될 수 없었던 사람과 이어질 수 있었다. 관계는 좁아졌고, 세계는 가까워졌다. 소셜네트워크라는 기술은 인간의 외로움을 그렇게 타고 올랐다. 모든 기술 사업이 그렇듯, 성장이 확인되면 사용자를 묶어 떠나지 않게 하는 ‘록인’ 전략이 자연스럽게 뒤따른다. 그래야 돈을 벌고 통제할 수 있다. 록인은 사회학적으로는
GPT 개발에 6개월의 멈춤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000명이 넘는 유명 인사들이 공개 서한에 서명을 하고 있습니다. 서명인에는 일론 머스크, 유발 하라리 등 유명인이 있습니다. 이 청원은 인공지능 공상 과학에 기반한 공포를 불러일으키고 인공지능의 실제 위험은 무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수 천명이 넘는 연구자, 전문가 그리고 테크 유명인 등이 "Pause AI
인공지능은 세계를 정복하지 않습니다. 인공지능은 세계를 바꿀 것입니다. 그 변화는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습니다. 3월에 있었던 몇가지 주요 발표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구글은 Gmail, Doc 그리고 Meet에 생성 AI 도구를 통합한다고 밝혔습니다(구글 블로그).구글은 자사 챗봇 바드(Bard)를 공개했습니다. 일단 미국과 영국에 거주하는 사람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구글 트위터)
💡GPT-4는 대략 인공일반지능(AGI) 수준에 도달했다고 평할 수 있을까요? 어느 정도 능력이면 AGI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사실 인간의 지능에 버금가는 인공지능이 탄생했다는 걸 정량적으로 측정한다는 건 상당히 어렵습니다. 지능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도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죠. 이 논문(혹은 백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것도 GPT-4를 대상으로 말이죠.
2018년 구글의 최고 경영자 순다르 피차이는 "인공지능은 인류가 지금까지 연구한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서 “인공지능은 전기나 불보다 더 심오한 무언가라고 생각한다"라며 인공지능이 인류에게 가져올 유용성을 비유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전기나 불보다 심오한 이유는 그 진화의 속도에 있습니다. 인간이 가진 강한 편견 중 하나가 내일은 오늘과
지난 3월 1일, 마크 저커버그가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메타도 AI 경쟁에 참여한다’는 걸 선언했죠? 하지만 이를 허풍으로 보는 시선도 많습니다. 메타가 최근 AI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 붓고 있다지만 상용화된 앱을 출시한 적은 없기 때문입니다. 저커버그도 그런 시선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메타의 사업 방향에 AI가 들어있음을 더욱 선언적으로 발표한 것
지난 주 인공지능 관련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고 웹사이트를 몇 분만에 코딩할 수 있는 GPT-4가 발표되었고, Anthropic에서는 Claude라는 GPT 경쟁 서비스를 발표했습니다. Claude는 이미 Notion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구글은 자사 거대언어모델(LLM) PaLM을 API를 통해 공개하였고, Gmail, Google Docs 등에 생성 AI를 적용한다고 공표했습니다. 이러한 일렬의 발표
💡닉 디아코풀러스 노스웨스턴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특별합니다. 컴퓨터과학으로 박사를 받고 저널리즘 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합니다. 그의 저서 'Automating the News'는 그이기에 쓸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과학자가 저널리즘을? 그래서 그의 연구 대부분은 뉴스와 관련한 알고리즘과 AI에 대한 것들입니다. 현재까진 특이한 이력을 지닌 분입니다. 그가 안식년을 맞아서 '뉴스룸 내 AI'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