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브리핑] NYT, AI 활용 본격화: 자체 AI 도구 'Echo' 공개 등
[Top1] NYT, AI 활용 본격화: 자체 AI 도구 'Echo' 공개뉴스룸 AI 교육 개시, 저널리즘 강화 및 접근성 확대… 저작권 침해 등 위험성 관리 병행 뉴욕타임스(NYT)가 인공지능(AI)을 뉴스 제작 및 편집 과정에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내 AI 도구를 통해 소셜 미디어 게시물 작성, 검색엔진최적화(SEO) 제목 생성,
[Top1] NYT, AI 활용 본격화: 자체 AI 도구 'Echo' 공개뉴스룸 AI 교육 개시, 저널리즘 강화 및 접근성 확대… 저작권 침해 등 위험성 관리 병행 뉴욕타임스(NYT)가 인공지능(AI)을 뉴스 제작 및 편집 과정에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내 AI 도구를 통해 소셜 미디어 게시물 작성, 검색엔진최적화(SEO) 제목 생성,
2021년 1분기(3.2% 증가)만큼 뉴스 제품이 유료 구독자 수 증가율이 낮았던 적은 2018년 2분기밖에
뉴스 상품의 구독은 일정 시점을 통과하게 되면 플래토 구간에 진입... 그 다음의 대안은?
뉴욕타임스의 댓글 공간은 청정 지역에 가깝습니다. 국내 포털 댓글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불쾌하고 유해한 콘텐츠는 거의 없습니다. 그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건강하고 전문성이 묻어있는 토론 커뮤니티, 포럼’에 가깝습니다. 수준 높은 댓글을 만날 때도 적지 않습니다. 잘 관리가 되고 있다는 인상을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뉴욕타임스도 하루이틀만에 이런 댓글창을 만들어낸
아래글은 언론중재위원회가 발간하는 언론사람 2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뉴욕타임스가 대선 후보 지지선언을 시작한 건 1860년의 일이다. 무려 160년이 된 전통이다. 그것의 절차, 영향력, 보도 방식 등이 변화하긴 했지만, 발표 행위 자체가 중단된 적은 없었다. 오히려 창간 이래 단 2차례만 생략했다는 자랑스런 언설만이 그들의 입과 지면을 통해 소개될 뿐이었다. 대선 후보 지지
9.4%(2018년 4분기) → 12.1%(2019년 4분기). 성장률만 30%. 뉴욕타임스의 기타 매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뉴욕타임스의 기타 매출은 구독과 광고를 제외한 다양한 사업 영업을 의미합니다. 굳이 기타 매출까지 들여다보는 건 뉴스 미디어를 먹여 살리는 새로운 사업 영역이 어느 정도의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느냐를 가늠해보기 위함입니다. 뉴욕타임스의 2019년 4분기 기타 매출은
뉴욕타임스는 올해부터 대선 후보 지지 선언 시 절차의 투명성을 강화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는 딘 바케 뉴욕타임스 편집국장의 INMA 대담 중 한 구절입니다. 트럼프의 트위터 사용에 관한 언급인데요. 기자들이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듯해서 옮겨봅니다. 뉴욕타임스의 방식이 만국 언론사의 기준이나 잣대가 될 순 없을 겁니다. 하지만 아래 대목은 국내 언론사들이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거든요. 정치인들의 수준 낮은 말잔치를 페이스북에서 긁어다 ‘뉴스’로
뉴욕 맨하튼의 소득 불균형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기사가 올라왔네요. 뉴욕타임즈 4일자 보도에 따르면, 뉴욕 맨하튼에 거주하는 상위 20% 계층의 연간 수입이 하위 20%에 비해 무려 52배나 많다고 합니다. 상위 20%의 평균 소득은 $365,826(3억6000만원)인 반면에 하위 20%의 평균소득은 $7,047(700만원) 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뉴욕타임즈
애플이 올해 안에 뉴스 구독 서비스를 내놓을 것이라는 뉴스는 다들 보셨을 겁니다. 제안을 받은 언론사들은 다들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있을 겁니다. 일단 뉴욕타임스의 입장이 되어볼까 합니다. 다음은 뉴욕타임스의 디지털 온리 구독 매출의 증가율입니다. 2017년 1분기-2018년 1분기 : 20.5% 2018년 1분기-2018년 4분기 : 9.3% 아직 2019년 1분기 집계치가 나오지 않아서 성장세가 어떻게
브렌들. 국내에서도 유명했습니다. 여러차례 소개된 적도 있었죠. 기사를 낱개로 판매하는 수익모델로 나름의 성공의 궤도를 따라가고 있던 미디어 스타트업입니다. 몇 년 전에는 뉴욕타임스와 악셀 스프링어 등으로부터 비교적 큰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었죠. 미국 진출 소식도 있었고요. 사정이 좋지 않다고 합니다. 오는 8월 건별 판매는 중단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구독으로 전환하고, 라디오 콘텐츠를 강화하겠다고
[업데이트 : 2022년 5월5일] 2022년 1분기 매출 현황 통계 이번 분기부터 뉴욕타임스는 구독자수(Subscribers)와 구독수(Subscription)을 구분해서 공표하기로 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언급하는 1000만 돌파는 구독수를 의미합니다. 순구독자수 개념과 유사한 구독자수로는 아직 뉴욕타임스가 1000만 명에 미치진 못하고 있습니다. 이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업데이트 : 2021년 11월 9일] 2021년 3분기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