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 키친 2.0: 음식점과 협력 모델
배달 전용 음식점인 고스트 키친(Ghost Kitchen)은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락다운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영역입니다. 고스트 키친은 기존 음식점과 갈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배달은 음식점에게 있어 생존의 문제입니다. 이 배달 매출을 고스트 키친이 음식점으로부터 뺏어간다면 이를 쉽게 받아드릴 음식점은 없을 것입니다. 음식점과 협력하여 배달
[강정수의 디지털 경제 브리핑 #27] 쇼핑, 쇼핑, 쇼핑
이번 주 뉴스레터는 아마존과 유튜브의 라이브 쇼핑 기능 강화 소식과 미국의 다양한 라이브 쇼핑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라이브 쇼핑은 한국, 중국 뿐 아니라 북미와 유럽에서도 점차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은 라이브 커머스를 성장시키기 위해 인플루언서 영입 작업에도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유튜브, 인플루언서 제품 리뷰 및 구매 기능
플라스틱과 작별한 커머스: 브랜드몰 Everdrop의 성공을 도운 비즈니스 도구
이커머스 이용빈도가 많아질 수록 쌓여가는 플라스틱 용기는 늘 문제입니다. 분리수거만 잘한다고 끝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설거지까지 해서 내놓은 플라스틱 용기라도 재활용률은 40%가 넘지 않는다고 합니다. 독일의 경우 21년 7월 3일부터 1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전면 금지되었습니다.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만 이용 가능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손세정제, 주방세제, 청소세제, 세탁세제에서 플라스틱을 (사실상)
퀵커머스 시장 가능성과 진화 방향
초등학교 때 부모님은 저녁 식사를 준비하면서 종종 밖에서 놀던 저를 부르곤 했습니다. "정수야 빨리가서 계란 한 판 사와라". 이런 심부름 싫지 않았습니다. 잔돈은 제 몫이었으니까요. 30대 때 장은 주로 주말에 봤습니다. 주 중에 식용유가 떨어지면 메모를 했습니다. 주말 장을 볼 때면 메모에 적힌 목록을 보며 마트를 휘휘 돌아다니곤 했습니다. 40대
아소스(ASOS) 성장 전략: 통합 브랜드 vs. 멀티 브랜드
이 글은 패션 브랜드가 다양한 (하위) 브랜드를 통합해 나갈 때 어떤 전략적 선택이 가능한지를 사례를 통해서 분석하고 있습니다. 영국 패션 산업은 빠르게 온라인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영국 전통의 백화점 체인 기업 데베넘스(Debenhams)는 울트라 패스트 패션(ultra-fast fashion) 기업 부후에게 2021년 1월 넘어갔습니다. 그 이후 데베넘스의 165개 지점은 문을 닫고
내연기관 자동차 시장의 붕괴
이번 주 Exciting f(x)는 1. 이커머스 기업의 기업공개 사례 분석, 2. 아마존의 약점 그리고 3. 틱톡의 성장에 맞서려는 유튜브 및 인스타그램의 전략을 분석했습니다. 이 중 3번 글을 아직 못 읽으신 분이 있다면 추천드립니다. 특히 유튜브 채널 운영자 또는 영상 크리에이터에게는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틱톡 전쟁 (틱톡 vs. 유튜브
틱톡 전쟁 (틱톡 vs. 유튜브 Shorts vs. 인스타그램 Reels): 크리에이터를 위한 손익 계산서
틱톡에 대한 대항 전선이 완성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 Reels, (한국에서는 의미가 없는) 스냅쳇의 Spotlight 그리고 유튜브의 Shorts가 틱톡에게 승부수를 두었습니다. 유튜브 Shorts는 21년 3월 인도와 미국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7월 12일 Shorts 서비스 지역을 100여개 국가로 확대했습니다. 유튜브가 틱톡과 전면전을 시작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크리에이터는 어떤 태도와 행동을 취하는
아마존의 약점 2: 취약한 셀러 서비스
아마존의 약점은 아마존의 개선할 수 없는 약점이 아닙니다. 아마존이 세계 이커머스의 지배자가 된 것은 그만큼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존의 놀라운 성장 속도를 고려한다면 아마존 내부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한 속도로 진화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특히 셀러 대상 서비스의 진화가 더딥니다. 아마존의 약점 1과 이번 글에서 설명드리는 아마존의 약점을
아마존의 약점 1: 추천 알고리즘의 한계와 동영상 커머스 소홀
아마존 창립 27년이 되는 날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아마존을 떠났습니다. 새로운 대표 앤디 제시(Andy Jassy)와 함께 아마존은 이커머스 지배력을 더욱 확대할 것입니다. 아마존의 거대한 성공과 시장 지배력에도 불구하고 아마존에게 약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어쩌면 이 약점은 아마존에겐 도전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수 많은 이커머스 기업에게 아마존의 약점은 기회이기도
인테리어 그림과 신발: 틈새시장에서 기업공개까지 이른 두 기업 소개
2020년과 2021년 이커머스 기업의 기업공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기업을 보며 이커머스의 다양한 가능성 및 성장 전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국 시장에도 주는 교훈도 있고요. 이어지고 있는 기업공개의 문제점은 기업가치입니다. 매출 대비 기업가치가 지나치게 높은 기업과 지나치게 낮은 매출 수준에서도 기업공개에 성공한 기업을 소개합니다. 인테리어 그림 또는 포스터 온라인 판매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