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의 오디오 밈(Audio Meme)이 특별한 이유
‘밈(Meme)’은 이제 꽤 익숙한 용어가 됐습니다.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가 자신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1976)에서 유전이 아닌 모방을 통해 습득되는 문화요소를 설명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된 밈은, 요즘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문화요소를 뜻하는 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대표적인 인터넷 밈들. (왼쪽부터) Pepe the frog, Coffin dance, The slap밈의 가장
'좋은 커리어(Career)'에 대한 현실적 조언 5가지
"좋은 커리어란 무엇일까요?" 높은 연봉, 주변인의 인정, 고용의 안정성 등 좋은 커리어냐 아니냐를 판별하는 기준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일까요? 데릭 톰슨(Derek Thompson)이 The Atlantic에 기고한 글을 토대로 이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만한 답을 정리해봤습니다. 커리어의 시작엔 보통 열정과 사랑이 동반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권태와 피로감에
[브리핑] 유튜브 스타 Mr.Beast 유니콘 등극?
유튜버 Mr. Beast, 2.1조원 상당 기업가치로 투자유치 모색중! 구독자수가 1억800만명에 달하는 유명 유튜브 채널 미스터 비스트(본명 지미 도널드슨, 24세), 약 2.1조원(15억 달러)의 평가금액 맞춰 사업자금으로 약 1억 5,000만 달러(2,1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액시오스가 보도했네요. 전 세계에서 5번째로 구독자가 많은 이 채널은, 포브스
[브리핑] 소셜미디어 어닝 쇼크 시작?
스냅 주가 27% 폭락, 소셜미디어 어닝쇼크 시작?저조한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스냅의 주가가 27% 폭락했습니다. 올 3분기 스냅의 순손실은 약 3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00% 이상 증가했습니다. 스냅은 올 4분기 역시 매출 성장이 둔화될 것이라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습니다. 광고 시장 수요가 침체하면서, 26일부터 발표되는 메타,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의
‘기술적 마법’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을 처음 접할 때면 종종 ‘마법 같다’는 느낌이 들곤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기술적 마법'의 중요성과 몇가지 사례에 대해 패키 맥코믹(Packy McCormick)이 Not Boring에 기고한 글을 토대로 정리했습니다. intro기술의 발전은 무엇을 목표로 해야 할까요? 여러 목표가 있겠지만, 아마도 최대한 많은 사람이 기술 발전의 혜택을 쉽고
[브리핑] 애플과 아마존, 노조와 상생할 수 있을까
애플과 아마존, 노조와 상생할 수 있을까 애플과 아마존이 노동자와 씨름하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미국에서 두번째 애플 매장 노조가 결성됐는데요. 그보다 하루 전에는 애플이 노조에 참여한 직원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보도가 나왔고, 일주일 전에는 노조 설립을 방해한 혐의로 고소당하기도 했습니다. 아마존은 노동자 파업으로 골치가 아픕니다. 뉴욕, 일리노이, 조지아 등 미국 곳곳의
애플의 Next Big Thing은?
💡안녕하세요. 최근 The Core에 새로운 필진이 합류했습니다. 인턴 김송현님입니다. 서울대 경제학부에 재학중인 김송현님은 학내 매체의 기자로도 활동중입니다. 강정수에디터를 도와 Big Tech 기업 소식을 포함한 경제정보를 정리할 예정입니다. 오늘 첫 글로, 애플에게 있어 현재의 iPhone의 입지를 이어갈 Next Big Thing은 무엇인가에 대해 장 루이 가세(Jean-Louis Gassee)가 쓴 Monday Note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