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시작된 다양한 공급난(supply chain chaos)은 아직까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공급난, 배터리 공급난 등은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서 발생하고 있다면 미국과 중국 그리고 유럽과 중국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물류 병목현상은 아마존 제국의 강점을 보여준 일대 사건이며 쇼피파이, 월마트 등 아마존 경쟁자에게 또 다른 숙제를 던지고 있습니다. 커머스를 아우르는 페이먼트 서비스에서 이른바 슈퍼앱의 등장이 2022년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은 이커머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1년 다수 이키머스 상장 기업의 주가 하락은 마켓컬리 등 2022년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에게 짙고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습니다.
2020년 그리고 2021년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아시아, 남미, 유럽, 북미 등 세계 곳곳에서 이커머스 매출이 급팽찬한 해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아마존, 알리바바, 쿠팡 등 (종합) 마켓플레이스의 성장 뿐 아니라 쉬인(Shein), 웨이페어(Wayfair) 등 다양한 버티컬 강자의 등장도 눈에 띕니다. 인스타카트(Instacart), 도어대시(DoorDash), 헬로 프레쉬(Hellofresh) 등 다양한 배달 및 배송 기업도 폭발적 확장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D2C, 퀵커머스, 고스트키친, 가상 브랜드 등 새로운 형태의 소비자 접점과 서비스도 존재감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리테일의 대종말(Apocalypse) 테제가 2017년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우리가 물건과 서비스를 사고 파는 방식은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질서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2022년 이커머스 주요 이슈를 점검하기 전에 2021년을 간략하게 돌아보며 이커머스 기업이 2021년 마주한 도전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이커머스 관련 주가 악화 이유: 2020년 대비 저성장 + 수익률 악화
2020년 이커머스 기업이 경험했던 매출 급성장이 2021년 지속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매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경우는 찾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2020년 이커머스 관련 기업 모두가 주가 상승을 경험했다면 2021년은 대다수가 하락을 경험합니다. Exciting f(x)가 2021년 1회 이상 분석했던 이커머스 기업은 29개입니다. 29개 분석 기업 중 주가가 성장한 기업은 5개뿐 입니다. 5개 기업은 씨노바, 엣시, 쇼피파이, 헬로 프래쉬, 아마존입니다. 씨노바는 프랑스에서 아마존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종합 마켓플레이스입니다. 헬로 프래쉬는 생필품 전문 배송 업체로 독일에서 시작해서 유럽 및 미국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 씨노바(+134%): 씨노바/씨디스카운트(CNOVA/CDiscount)의 주가 급상승, 이유는 무엇일까요?
- 엣시(+23%): 엣시(Etsy)의 디펍(Depop) 인수: Gen Z의 패션 리세일 열기와 멀티 마켓플레이스 전략
- 쇼피파이(+23%): 인스타그램에서 NFT 판매 및 구매 가능:쇼피파이(Shopify)가 시작한 NFT 혁명
- 헬로 프레시(+6%): 코로나 시기에 크게 성장한 기업 엣시(Etsy)
- 아마존(+3%): 구독 서비스의 게임 체인저, 번들링: 아마존 프라임과 월마트+
- 베르꼬까우빠(+0%): 스칸디나비아 커머스 강자 (1): BHG와 베르꼬까우빠
- 네이키드 와인(-4%): 네이키드 와인(Naked Wines), 와인 구독 모델의 성공
- 도어대시(-4%)
- 웨이페어(-16%): 드랍쉬핑: 사기일까 커머스의 진일보일까
- JD.com(-21%): 유럽 공략에 시동건 JD.com
- 샵 아포테케(-24%): 처방전 약을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면?
- 오카도(-22%): 식료품/신선식품 배송 서비스의 강자 오카도 리테일(Ocado Retail)
- Deliveroo(-26%):
- 웨스트윙(-32%): 유럽판 오늘의 집, 웨스트윙(Westwing)의 성장전략
- 츄이(-35%): 유럽 온라인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강자 쥬플러스(Zooplus)
- 스레드업(-36%): 당근마켓, 포시마크(Poshmark), 스레드업(ThredUp): the Resale-Revolution
- 마이 테레사(-37%): 마이 테레사(MyTheresa): 온라인 럭셔리 매출 급증
- 쿠팡(-39%)
- 파페치(-47%): 온라인 럭셔리 전쟁: 파페치 vs. 아마존
- 빅헤마(-47%): 스칸디나비아 커머스 강자 (1): BHG와 베르꼬까우빠
- 알리바바(-49%): 아마존 및 알리바바: 물류 자동화가 가지는 의미 분석
- Asos(-52%): 아소스(ASOS) 성장 전략: 통합 브랜드 vs. 멀티 브랜드
- 부후(-64%): 영국 백화점 체인 데베넘스를 집어삼킨 온라인 기업 부후(boohoo)
- 핀둬둬(-67%): 검색창이 없는 쇼핑앱이 성공한 이유, 핀둬둬 성장 가능성과 주가 전망
- 스티치 픽스(-68%): 인공지능이 패션산업을 바꿀 수 있을까
- The Hut Group(-71%): 영국 대표 이커머스 기업 THG: 인수합병으로 성장, 기술 기업으로 진화
- 포시마크(-72%): 당근마켓, 포시마크(Poshmark), 스레드업(ThredUp): the Resale-Revolution
- Desenio(-73%): 인테리어 그림과 신발: 틈새시장에서 기업공개까지 이른 두 기업 소개
- 위시(-86.45%): 퍼포먼스 마케팅의 한계를 보여준 위시(W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