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가속주의와 21세기의 시작
2025년 우리는 마침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미국 4개 빅테크 기업은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을 AI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칩은 AI 추론(inference)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도 엔비디아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알리고 있습니다. 태양광은 미래의 지배적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준으로 여겨왔던 많은 틀과 프레임을 무너뜨리는
2025년 우리는 마침내 21세기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미국 4개 빅테크 기업은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을 AI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칩은 AI 추론(inference)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도 엔비디아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을 알리고 있습니다. 태양광은 미래의 지배적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기준으로 여겨왔던 많은 틀과 프레임을 무너뜨리는
구글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스타디아를 23년 1월 18일 종료합니다. 이 소식을 The Core에서 분석해야할지 고민했습니다. 게임 산업은 Play to Earn 등 web3 분야를 제외하면 The Core가 다루는 주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스타디아 종료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분석하려고 할까요? 구글이 스타디아 이용자와 게임 개발 파트더를 대하는 태도와 방식에 문제가 있기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 2(Dall-E 2),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은 텍스트를 이미지로 전환하는(text-to-image)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인공지능 콘텐츠 생성기(AI-Content-Generators)라 부를 수 있습니다. 미드저니(Midjourney), 달-리 2(Dall-E 2), 스테이블 디퓨젼(Stable Diffusion)이 어디까지 어떤 속도로 진화할 수 있을지, 이 기술이 어떤 분야에 어떤 가능성을
틱톡의 성장 속도가 무섭습니다. 지금까지 존재한 어떤 소셜 미디어 앱보다 빠른 성장 속도입니다. 틱톡 이용자 규모는 15억 명에 이르고 있습니다. 미국 10대의 경우 틱톡 이용률은 인스타그램과 스냅챗을 넘어 섰습니다. 다급해진 인스타그램은 틱톡의 숏폼뿐 아니라 틱톡의 피드 알고리즘을 적극 모방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숏폼 크리에이터와 광고 매출 공유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자의
애플의 2026년 광고 매출 목표는 300억 달러입니다. 2016년 애플이 광고 비즈니스에 다시 뛰어든 이후 2021년의 광고매출은 40억 달러였습니다. 300억 달러면 현재 디지털 광고시장 3위 사업자 아마존을 바짝 뒤쫓는 수준입니다. 이 글은 애플이 이 목표를 어떻게 현실화하고 있는지와 애플과 구글이 모바일 광고시장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애플은 아이폰에서
테크크런치는 22년 9월 4일 보도를 통해 인스타그램이 리포스트(Repost) 기능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도했습니다. 인스타그램이 지금까지 제공하는 있는 공유 기능은 (1) 스토리(특정 포스트를 자신의 "스토리에 게시물 추가") 및 (2) DM (특정 포스트를 친구에게 DM으로 보내기)에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리포스트는 트위터의 리트윗(Retweet)과 동일하게 팔로워의 피드에 공유하는 형식입니다.
2022년 8월 25일 캘리포니아는 2035년부터 사실상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는 시행령을 확정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중간 단계 목표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6년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율은 35%, 2030년 그 비중은 68%로 단계적으로 상승합니다. 2021년 기준 캘리포니아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율은 16%입니다. 참고로 미국 전체로 볼 때 2021년 EV 신차
최근 미국 퓨(PEW) 리서치센터에서 미국내 10대들의 소셜미디어 이용행태 변화를 조사한 후 'Teens, Social Media and Technology 2022'라는 결과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2014,15년 무렵과 2022년 조사결과를 비교한 내용이어서 그간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파악하기 용이한 자료입니다. Teens, Social Media and Technology 2022The landscape of social media is ever-changing, especially among teens
얼마전 구글 임원이 "틱톡으로 검색하는 젊은 세대가 늘어나 걱정"이라고 얘기해 화제가 됐었죠. Google exec suggests Instagram and TikTok are eating into Google’s core products, Search and Maps 소셜미디어 전략가 에이드리엔 셰레스(Adrienne Sheares)가 그 얘길 듣고 직접 젊은이들과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고 3가지 요점을 정리해서 트윗으로
소셜 미디어가 새로운 진화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틱톡이 변화의 시발점입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이 숏폼 동영상을 넘어 이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법을 틱톡 방식으로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사진/이미지, 일반 포스트 등 모든 콘텐츠 형식에 소셜 그래프와 아무 상관없는 A.I. 추천 방식이 도입됩니다. 영상은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매개 변수(parameters)
소셜 그래프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친구 기반, 팔로잉 기반, 구독 기반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던 패턴에서 A.I.가 추천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으로 소셜 미디어의 소비 구조가 변화를 맞고 있습니다. 시발점은 틱톡이었습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이 A.I. 추천 피드의 비중을 30%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소셜 그래프에 기반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뉴스)피드가 A.
여러분은 유튜브 또는 넷플릭스를 하루에 한 시간씩 소비를 하고 계신가요? 미국의 경우 넷플릭스 이용자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2021년 기준 3.2시간입니다. 보수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하루 1시간 넷플릭스를 이용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여기에 유튜브 이용자도 하루 평균 1시간 이용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때 발생하는 CO2는 각각 100g입니다. 전기 생산에서 재생에너지와 핵 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이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를 경험해온 세대는 다른 세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검색 습관은 그 이전 세대와 다릅니다. 구글 및 네이버가 직면한 도전입니다. 22년 7월 13일 테크크런치(TechCrunch) 보도에 따르면, 구글 내부 데이터는 Gen Z 이용자의 약 40%가 구글 검색보다 인스타그램과 틱톡의 검색을 선호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구글 수석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