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브라우저, 웹과 앱의 새로운 권력 투쟁
AI 브라우저는 웹뿐 아니라 앱 그리고 AI 글래스 등 새로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새로운 플랫폼입니다. 이 글은 관련 시장과 기업의 경쟁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끝가지 읽으신다면 얼마나 큰 변화가 2025년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오픈AI는 2024년 11월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수석 개발자였던 벤 굿저(Ben Goodger)
AI 브라우저는 웹뿐 아니라 앱 그리고 AI 글래스 등 새로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새로운 플랫폼입니다. 이 글은 관련 시장과 기업의 경쟁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끝가지 읽으신다면 얼마나 큰 변화가 2025년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오픈AI는 2024년 11월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수석 개발자였던 벤 굿저(Ben Goodger)
Pick오픈AI, 국내 AI 스타트업 집어삼킨다샘 알트만 해임 사건 여파로 Open AI의 리더십과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은 상황인데요. 이는 그만큼 오픈AI가 AI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마어마하게 크기 때문일 겁니다. 최근엔 GPT 터보를 내놓으면서 무차별적인 생태계 확장 전략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거대언어모델(LLM) 알고리듬은 물론 일반 사용자를 겨냥한 하위 서비스까지 영역을
샘 알트만 CEO의 해임으로 촉발된 OpenAI의 리더십 이슈가 계속 불거지고 있습니다. 워낙에 인공지능의 개발속도가 빨라지면서 논란도 큰 상황에서 현재 선두에 서 있는 Open AI를 주목할 수 밖에 없다보니 이번 사안이 미칠 파장에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상황입니다. 더코어에서 속보를 업데이트 하면서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아울러 이 글에선 사건의 배경과 관련된 루머성 얘기를
한국 시간으로 7일 새벽, 오픈AI가 샌프란시스코 본사에서 개발자 컨퍼런스를 개최했습니다. 2015년 창립 이후 첫 개발자 컨퍼런스였다고 합니다. 오픈AI의 개발자 컨퍼런스는 구글, 애플, 메타의 컨퍼런스 못지 않게 많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GPT스토어', '터보' 출시, 새로운 생태계 찾아 나선 오픈AI컨퍼런스에선 여러 소식이 발표됐습니다. 테크 애널리스트 벤 톰슨(Ben Thompson)이 "더 배우고 싶을
Picks[1] 유명 애널리스트가 X(트위터)를 떠난 이유는?이번 주 월요일, 유명 테크 애널리스트 베네딕트 에반스(Benedict Evans)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Leaving Twitter'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올렸습니다. 2007년부터 써왔던 X(옛 트위터)에 앞으로 글을 올리지 않겠단 소식이었습니다. 그는 X에 팔로워 39만 명 짜리 계정을 보유 중인데요. 그럼에도 현재 X의
23년 9월 마지막 주 인공지능 관련 큰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변화의 핵심은 거대언어모델의 성능 대결 국면-저는 이를 Technology First라고 부르겠습니다-에서 이용자가 AI를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경쟁하는 AI 서비스 국면-이를 Customer First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으로 AI 경쟁이 국면 전환을 시작했다는데 있습니다. 이 글은 AI 시장의 새로운 국면을 분석합니다. 새로운
Picks챗GPT➕ DALL·E 3, 이미지 AI의 새 모델오픈AI의 AI 응용 소프트웨어는 크게 셋으로 나뉘는데요. 챗GPT(대화), DALL·E(이미지), OpenAI(게임)입니다. 그중 챗GPT와 DALL·E(달리)가 손을 잡습니다. 챗GPT🤝DALL·E, 그림 인공지능의 신시대? DALL·E 3🤝ChatGPT pic.twitter.com/90ITkUAln2 — OpenAI (@OpenAI) September 21, 2023
Pick'킬러 서비스'에 목마른 AI 기업들챗GPT 트래픽이 두 달 연속 감소 중입니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소비자를 위한 '킬러 서비스'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하는데요. 오픈AI는 첫 인수합병 대상으로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선택하면서 킬러 서비스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했습니다. 킬러 서비스란? 킬러 서비스, 또는 킬러 앱은 '시장에 등장하자마자 다른 경쟁 제품을 몰아내고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2022년 11월 30일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 8개월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이 글은 지난 8개월 동안 거대언어모델 흐름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블랙박스: LLM은 블랙박스라는 구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특성은 인터페이스에서 강화될 수도 있고 약화될 때도 있습니다(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글 마지막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챗GPT는 채팅 출력/결과에 추론 및 합성의 단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샘 알트만 방한, 주요 발언은?지난 9~10일 샘 알트만이 방한했습니다. 첫 날 많은 일정을 소화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정치 및 경제 분야 인사들을 만났습니다. 스타트업 종사자들과 국내 AI 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논하기도 했는데요. 알트만은 ‘한국 기업과 한국인에게 하고픈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 ▲국내 반도체와 협력 ▲국내 AI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이 글은 AI로 인한 인류 문명 종말 가능성 경고가 위선적인 이유를 밝히고 있습니다. 점점 더 강력한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사람들이 인공지능은 인류 문명의 종말을 의미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고를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ChatGPT가 세상이 나온지 6개월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ChatGPT는 세계적인 문화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 인기가 이제 문명
“(AI) 기술의 위험성을 제어하기 위해 정부와 협력하고 싶다.” (5월 16일) - 샘 알트만“오픈 AI는 (정부 규제를)준수하지 못할 수 있다. 그땐 유럽에서 떠날 수 있다.” (5월 24일) - 샘 알트만 8일 만에 바뀌었습니다. 실용성 만큼이나 큰 위험성을 지닌 AI를 향한 규제 방안들이 세계 곳곳에서 쏟아지는 중입니다. 모두 규제의 필요성에
[오징어게임] 10개 에피소드, 11월 공개 예정게임쇼 포맷으로 제작중이라는 오징어게임 후속편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최근 야후뉴스에서 현재 진행상황이 어떤지 확인한 기사를 올렸네요. (뉴스레터 발송시, '시즌2'로 잘못 표기했네요. 주인공 이정재의 출연을 포함 스토리 또한 시즌1에 이어서 제작되는 것으로 생각되다보니 '시즌2'로 착각했습니다. 독자분의 지적으로 바로잡습니다) 워낙에 넷플릭스측이 보안에 예민해서 구체적인 내용은 덜하지만 몇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