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Commerce: 아마존의 Buy for me 쇼핑 에이전트
만약 쿠팡이 쇼핑 에이전트를 제공한다면, 여러분은 쿠팡에 머물면서 네이버 스토어와 테무에서 쇼핑을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이 테스트하고 있는 쇼핑 에이전트 Buy for me는 이커머스에서 게임의 규칙을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Buy for me를 통해 아마존 이용자는 아마존을 떠나지 않고도 아마존을 통해 타사 웹사이트/앱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Buy for me는
만약 쿠팡이 쇼핑 에이전트를 제공한다면, 여러분은 쿠팡에 머물면서 네이버 스토어와 테무에서 쇼핑을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이 테스트하고 있는 쇼핑 에이전트 Buy for me는 이커머스에서 게임의 규칙을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Buy for me를 통해 아마존 이용자는 아마존을 떠나지 않고도 아마존을 통해 타사 웹사이트/앱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Buy for me는
22년 2월 2일 메타-구 페이스북-의 실적 발표가 주식 시장에 큰 충격을 던졌습니다. 다음 날 메타의 주가가 급락하며 시가총액 중 2370억 달러가 날아갔습니다. 약 300조원 수준입니다. 삼성전자 시가총액이 약 442조원인 것을 고려하면 메타 시가총액 손실 규모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제가 놀란 다른 점은 빅테크 기업의 시가총액이 얼마나 큰지입니다. 메타 시가총액 중
2021년 세계 쇼핑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아마존을 이긴 기업은 쇼피(Shopee), 미쇼(Meesho) 그리고 쉬인(Shein) 3개입니다. 다운로드 기준 뿐 아니라 재방문율, 체류 시간 등의 기준에서도 이 3개 쇼핑 앱은 아마존과 쿠팡을 크게 앞서고 있습니다. 쇼피는 동남아시아 시장뿐 아니라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유럽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쉬인은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시작된 다양한 공급난(supply chain chaos)은 아직까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공급난, 배터리 공급난 등은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서 발생하고 있다면 미국과 중국 그리고 유럽과 중국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물류 병목현상은 아마존 제국의 강점을 보여준 일대 사건이며 쇼피파이, 월마트 등 아마존 경쟁자에게 또 다른 숙제를
21년 1월 4일 GM과 스텔란티스(Stellantis)는 동시에 의미있는 발표를 합니다. GM은 월마트와 FedEx로부터 각각 5,000대의 전기 화물차-밴van- 주문을 받았습니다. 이로써 GM이 양산을 시작한 전기 화물차 BringDrop은 총 25,000대 예약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FedEx는 주문량을 5,000대에서 2만대로 상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니 BringDrop이 미국 상용차의 전동화에 의미있는 역할을
이 글은 퍼포먼스 마케팅이 마주하고 있는 두 개의 위험성과 두 개의 출구전략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 수요가 폭증하고 공급 물량에 매우 늦은 속도로 증가하자 페이스북, 구글/유튜브 등의 광고 단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효율성이 떨어지자 위시 고객이 줄었습니다. 그 결과 위시(Wish)의 경우 21년 2/4분기 이후 구조조정을 시작했으며
아마존은 21년 10월 기준 총 17개의 자체 개발 상품(Private Label Product) 브랜드 또는 PB(Private Brand)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마트 또는 롯데마트가 복수의 PB를 제공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논란 대상은 PB 그 자체가 아니라 (1) 아마존 (쇼핑) 검색결과에서 아마존 PB가 우대 또는 특혜를 받고 있는지 여부와 (2) PB 우대 그
이커머스는 다양한 상상(?)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퀵커머스는 10분 배송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무료 배송 및 반품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높은 반품 비용으로 작지 않은 경우 반품 제품을 폐기 처분합니다(아래 글 참조). 또는 옷과 장신구를 빌려 이용하는 서비스, 때문에 100% 반품을 구조화하고 있는 서비스도 존재합니다. 패션 랜탈 전문 기업
Exciting f(x)에서 여러 차례 소개한 것처럼 아마존이 광고시장 지배력을 크게 높여가고 있습니다. 2019년 미국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아마존의 점유율은 7.8%였지만 이 수치는 2020년 10.3%로 증가했습니다. 매출 수치로 보면 아마존의 2020년 광고 매출은 157억 3,000만 달러입니다. 2019년 대비 52.5% 성장한 것입니다. 2021년 1월부터
지난 주와 이번 주 집중해서 공부한 영역은 아래입니다. 페이스북 파일과 내부 고발자: 읽을 거리가 많은 주제입니다. 어디쯤 마침표를 찍고 글을 써야하나 고민이 되는데요, 건조한 주제이긴 하나 다뤄보려고 합니다. 오터레터가 이 주제는 꼼꼼하게 잘 분석하고 있습니다.아마존: 아마존 PB 문제, 아마존과 아마존 셀러 사이에서 일어나는 고객 데이터 싸움, 아마존 애그리게이터, 광고시장
2019년 최고점을 기록했던 공항 리테일이 코로나 팬데믹으로 직격탄을 맞았으나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매우 더디지만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팬데믹 이전과 이후 공항 리테일은 어떤 변화를 겪게될까요? 단기적 변화에서 중장기적 변화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아마존/쿠팡/네이버에 더욱 익숙해진 고객들에게 공항 면세점 전략은 어떻게 되어야하는가니다. 두 번째는 아마존이 공항 면세점에 관심을 갖는
OTT 서비스 대중화에서 주요한 사건 중 하나는 아마존의 스포츠 라이브 중계권 구매입니다. 2018년 아마존은 2019년부터 3년 동안 지속되는 영국 프리미어리그 중계권을 구매합니다. 한국으로 비유하면 쿠팡이 KBO로부터 프로야구 라이브 중계권을 구매한 것과 다름 없습니다. 스포츠 라이브는 소비자가 케이블 방송에서 OTT로 넘어가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올림픽 경기의 결정적 순간을, 축구와
전통 약국은 이커머스 시대 어떻게 진화할 수 있을까요?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처방약 배송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반려동물 처방약 배송 서비스도 시작되었습니다. 아마존 약국 서비스에 도전장 던진 퀵커머스아마존은 2020년 11월 아마존 파머시(Amazon Pharmacy) 서비스를 미국에서 시작했습니다. 아마존 파머시는 아이허브(iHerb)와 같이 처방전이 필요없는 건강보조식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